국제 국제일반

IMF, 경제성장률 연계채권 도입 방안 검토

국제통화기금(IMF)이 중남미 등 신흥시장국가들의 외채위기를 방지하기 위해 원리금 상환을 경제상황에 맞춰 조정할 수 있는 ‘경제성장률 연계 채권’을 도입하는 방안을 검토중이다. IMF는 신흥시장국가들이 부채를 갚지 못하는 상황을 피할 수 있도록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에 따라 원리금 상환조건을 변경할 수 있는 채권 도입 등을 검토하고 있다고 파이낸셜 타임즈(FT)가 10일 보도했다. 중남미 국가들은 최근 경제정상회담을 갖고 이 같은 방안을 마련해 미국 등 선진7개국(G7)으로부터 긍정적인 반응을 얻었다. 특히 성장률 연계 채권은 아라헨티니아 채무재조정 방안 가운데 하나로 거론되고 있다. 보통 신흥시장국가들의 경우 경제가 침체되면 시장의 신뢰를 얻고 채권 원리금을 제 때 상환하기 위해 세금을 늘리거나 지출을 축소함으로써 경제운영에 더 큰 어려움을 겪어 왔다. 반면 투자자들은 이 같은 성장률 연계 채권에 대해 부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채권자의 이익을 제대로 보호하기 어려워 시장성이 낮은데다 신흥시장국가들의 통계가 정확치 않다는 이유에서다. 그래서 성장률 연계 채권이 도입된다고 해도 발행 자체가 어려울 것이라는 평가가 많다. 채권 투자자들은 시장성이 낮다는 이유로 보다 높은 금리를 요구할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