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서울시장 선거에 '정책'이 없다

나경원, 박근혜 지원여부 등 맞물려 갈팡질팡<br>박영선은 박원순과 후보단일화 이슈에 묻혀<br>공약검증 기회 실종… 인기경쟁으로 치달아


10ㆍ26 서울시장 보궐선거에서 정책이 보이지 않는다. 여권의 경우 정책의 핵심인 복지 당론이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의 선거 지원과 맞물려 갈팡질팡하고 있고 야권은 민주당 후보와 시민후보 간 단일화가 모든 것을 집어삼키고 있기 때문이다. 인물 간 인기 경쟁에 차기 대권을 둘러싼 정치권의 권력 구도까지 겹치는 형국이다. 그나마 후보들이 낸 공약은 주목 받지 못하면서 공약의 실현 타당성을 검증하는 기회조차 실종되고 있다는 비판이 나온다. 한나라당은 박 전 대표의 지원과 이를 위한 복지 당론 결정이 늦어지면서 모든 선거 일정을 지연시키고 있다. 2일 나경원 후보가 "오세훈 전 시장 시절 한 사업 구조조정을 통해 서울시 부채 7조8,931억원 중 4조원을 갚겠다"는 공약을 내놓기는 했지만 이번 선거를 야기한 무상급식 및 복지와 관련한 공약은 추후에 발표하겠다고 말을 아꼈다. 오는 5일 당내 복지정책 태스크포스(TF)가 내놓는 대안과 나 후보의 생각을 조율한 뒤에야 복지와 관련된 공약이 등장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나 후보는 지난 1일 무상급식 전면 실시에 대해 "무상급식 예산으로 (더 필요한) 다른 데 먼저 써야 한다는 생각이다. '눈칫밥' 부분은 동의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친박근혜계의 주장에 따라 복지TF가 검토한 무상급식 확대와 다른 입장임을 밝힌 셈이다. 야권에서는 '단일화' 이슈가 모든 것을 압도한다. 박영선 민주당 정책위의장이 경선을 통해 민주당 후보로 결정된 후 지속적인 상승세를 타고 있으나 '시민 후보'인 박원순 변호사와의 단일화가 남아 있다. 이로 인해 서울시장 후보로서의 정책과 능력보다는 박 변호사와의 공방전만 이슈로 떠오르는 상황이다. 이날 박영선 후보가 자신의 10대 정책공약을 발표하는 자리에서도 관심은 하루 앞으로 다가온 단일화에 쏠렸다. 박 후보는 '서울 젊은이 펀드'와 '주식회사 엄마교실' 등을 골자로 하는 정책 공약을 내놓았지만 이어진 질문과 답변 대부분은 단일화 승리 전략에 집중됐다. 3일 단일화 경선을 앞두고 박 변호사와의 지지율 격차를 어떻게 줄일 것이냐는 질문에 박 후보는 "바람이 극복되고 있다"며 "흐르는 물처럼 낮은 데로 임해서 겸손한 마음을 가지고 끝까지 최선을 다하겠다"고 답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