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하루 42명…자살사망자 10년새 5배로

OECD 국가 중 최다…10∼30대 사망원인 1위

하루 42명…자살사망자 10년새 5배로 OECD 국가 중 최다…10∼30대 사망원인 1위 우리나라 국민의 자살사망률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최고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복지부가 5일 올해 ‘자살 예방의 날’을 맞아 발표한 자살 관련 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인구 10만명당 자살사망자(2009년 기준)는 28.4명으로 33개 OECD 국가 중에 가장 많았다. 실제 통계청 조사에서도 2009년 자살사망자 수는 1만5,413명으로 하루 평균 42.2명이 자살로 목숨을 끊었다. 2009년 자살 사망자 수는 전년의 1만2,858명에 비해 19.9% 늘어난 것이며, 10년 전인 1989년(3,133명)과 비교하면 무려 5배 이상이 된 것이다. 이에 따라 자살은 교통사고와 암(癌)을 제치고 10대부터 30대까지의 사망원인 1순위로 기록됐으며, 40대와 50대에서도 암에 이어 2순위의 사망원인이 되고 있다. 특히 20대의 경우 사망원인 가운데 절반에 육박하는 44.6%가 자살이었고, 30대(34.1%)와 10대(29.5%)에서도 자살이 전체 사망원인의 3분의 1을 차지했다. 이처럼 심각한 사회 문제로 부상한 자살을 막기 위해 마련된 자살예방법이 지난 3월 국회를 통과함에 따라 조만간 중앙과 지방에 자살예방센터가 설치돼 운영된다. 또 정부는 5년 단위로 자살예방 기본계획을 수립해 실행하게 된다. 한편, 복지부는 이날 서울 교육문화회관에서 ‘2011년 한국인의 자살-개인의 문제에서 사회적인 책임까지’를 주제로 자살예방의 날 기념식을 개최했다. 이날 행사에서는 자살예방을 위해 헌신해온 12명의 개인과 3개 단체 등이 복지부 장관 표창을 받았다. 또 이날 열린 자살 관련 종합학술대회에서는 일본의 자살예방정책, 우리나라 노인자살의 특성과 예방적 대처 현황 등이 소개됐다. /온라인뉴스부 [리빙앤조이] 건강·패션… 몰랐던 생활정보 가득!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