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파나마 운하 대체할 '드라이 운하' 건설"

대평양~대서양 잇는 드라이 운하


콜롬비아가 중국의 자금을 끌어들여 파나마 운하에 도전장을 냈다. 양국은 태평양과 대서양을 철도로 잇는 일명 ‘드라이 운하(dry canal)’ 건설에 나선다는 것. 14일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후안 마누엘 산토스 콜롬비아 대통령은 “파나마 운하를 대체할 220km 구간의 드라이 운하 건설과 관련해 중국과의 협상에서 상당한 진전이 있었다”며 “현재 중국이 수송 원가, 운하 건설 투자비 등에 대한 계산을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콜롬비아의 드라이 운하 종착역이 될 우바라는 콜롬비아 북부 카리브해안 항구도시 카르타헤나와 인접한 곳으로 중국에서 수입된 물건이 재분류돼 미국으로 다시 수출 되기 위해 집결하는 곳이다. 또 콜롬비아산 원자재가 중국으로 이송되는 출발점이기도 하다. 콜롬비아는 아시아와 미국과의 교류를 늘리기 위해 오래 전부터 파나마 운하를 대체할 또 다른 운송로 구축을 위해 모색해 왔다. 양국은 드라이 운하가 완공되면 파나마 운하를 이용할 때보다 태평양과 대성양 간 물류 이동시간이 더욱 단축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중국과 콜롬비아의 교역 규모는 지난 1980년 1,000만 달러 수준에 불과했지만 지난해 기준 50억 달러를 넘어서며 급증하고 있다. 중국은 콜롬비아에 있어 미국에 이은 제2 교역국으로 자리잡은 상황이다. 콜롬비아를 남미의 관문으로 여기고 있는 중국은 드라이 운하뿐만 아니라 76억 달러(약 8조600억원)를 투입해 791㎞에 달하는 콜롬비아 내륙 철도 건설과 태평양의 부에나벤투라 항구 확장 사업도 추진 중이다. 중국은 이를 통해 콜롬비아의 원자재, 특히 세계 5대 석탄 생산국인 콜롬비아 석탄의 원활한 수입을 꾀하고 있다. 콜롬비아 주재 가오정웨 중국 대사는 “콜롬비아는 남미 국가로 들어가는 입구로 중국으로선 전략적으로 주요 지역”이라고 말했다. 한편 FT는 콜롬비아가 오랫동안 파나마 운하를 대체하는 운하 건설을 꿈꿔온 데다 드라이 운하 건설이 미ㆍ콜롬비아 자유무역협정(FTA)의 비준을 끌어낼 압박카드로 활용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미 의회는 노동ㆍ환경 문제 등을 문제삼고 있다. 하지만 FT는 드라이 운하의 경제성과 경쟁력에 대해서는 의문을 제기했다. 철도 수송이 선박 수송보다 시간은 더 짧지만 수송 단가가 더 높은 데다 배로 한번에 수송할 수 있는 양이 열차보다 압도적으로 우위에 있기 때문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