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평균 54세에 직장 떠난다

정년 퇴직은 12% 불과<br>55~79세 고령층 부가조사…57%는 "다시 일하고 싶다"


55∼79세 고령자 가운데 정년 퇴임을 한 경우는 10명 중 1명 꼴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직장을 그만둔 나이도 평균 54세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따라 10명 중 6명 가량이 생활비 또는 일의 즐거움으로 인해 다시 일을 원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통계청은 4일 이 같은 내용의 ‘고령층 경제활동인구 부가조사 결과’를 밝혔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55∼79세 고령층이 가장 오래 근무했던 직장에서의 평균 근속기간은 평균 20년9개월로 나타나 1년 전 조사 때보다 1개월 가량 줄었다. 성별로는 남성이 23년5개월로 여성의 18년3개월보다 5년2개월이 많았다. 평균 이직 연령은 남성 만 55세, 여성 만 52세여서 남녀를 합하면 54세다. 직장을 그만둔 이유로는 ▦정년퇴직은 12.0%에 불과했고 ▦건강 문제 27.5% ▦사업부진ㆍ조업중단ㆍ폐업ㆍ휴업 19.2% ▦가족 부양 13.9% ▦일을 그만둘 나이가 됐다고 생각해서 7.2% 등이었다. 다시 일을 하고 싶어하는 비중도 57.9%에 달했다. ‘생활비에 보탬이 되기 위해서’가 34.3%였고 ‘일하는 즐거움 때문에’가 17.4%였다. 다시 취업을 할 경우 원하는 임금수준은 100만원 안팎이 대다수를 차지했다. 월평균 희망보수가 50만∼100만원 미만이 38.1%로 가장 많았고 100만∼150만원 미만 28.2%, 150만∼300만원 미만 15.6%, 50만원 미만도 13.9%에 이르렀다. 한편 지난 5월 현재 55∼79세 인구는 모두 833만3,000명으로 전년동월 대비 23만4,000명(2.9%) 늘었다. 또 이들의 경제활동참가율은 50.3%로 조사됐다. 55~79세 연령층 중 직업을 가진 사람들의 산업별 분포는 농림어업이 31.9%로 가장 많았고 사업ㆍ개인ㆍ공공서비스업이 26.5%로 그 뒤를 이었다. 직업별로는 기능ㆍ기계조작ㆍ조립ㆍ단순노무직이 38.0%, 농림어업직이 29.9%로 집계됐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