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ㆍ2 지방선거에서 여당이 사실상 참패하면서 후폭풍이 경제팀 개각으로까지 확대되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청와대는 6일 개각 시기에 대해 "오는 7월28일 재보선 이후 이뤄질 가능성이 크다"며 인사폭에 대해서도 "필요한 최소한의 범위"라며 '소폭'의 인사를 얘기한 상황. 하지만 지방선거에 이어 재보선에서까지 여당이 완패할 경우 경제팀이 개각의 유탄에서 완전히 벗어날 것이라고 단정짓기 힘들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그동안 청와대와 관가 안팎에서는 11월 주요20개국(G20) 정상회의까지는 경제팀 개각이 없을 것이라는 게 정설이었다. G20의 성공적인 개최를 위해서는 그동안 이를 준비해온 사람들이 끝맺음을 해야 한다는 논리였다. 하지만 이번 선거가 여당의 완패로 끝나면서 인적 쇄신론이 제기되고 여기에 경제팀도 무한 책임을 져야 한다는 얘기들이 흘러나오고 있다. 경제팀의 경우 그동안 수행해온 서민층에 대한 정책들이 상대적으로 미흡했다는 반성이 맞물려 있다. 실제로 청와대가 이날 '선거용 개각은 없다'며 조기 개각 및 대폭 개각 가능성은 없다는 점을 분명히 했지만 야당이 정운찬 국무총리의 퇴진을 더욱 거세게 요구하고 있고 여권 내에서도 재임 기간이 오래된 장차관들의 교체가 불가피하다는 기류가 만만치 않게 형성돼 있다. 관가에서는 청와대가 조기ㆍ대폭 개각이 없음을 공언한 이상 일단은 경제팀이 인사 대상에서 벗어난 것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윤진식 전 대통령 실장 등 이명박 대통령의 측근이 대거 출마할 재보선에서 여당이 다시 패배하면 청와대의 개각 구상도 달라질 수밖에 없다는 시각이다. 경제팀이 개각 대상에 오를 경우 우선 순위로는 현 정부 출범과 함께 기용된 정종환 국토해양부 장관과 지난 2008년 7ㆍ7 개각 때 입각한 장태평 농림수산식품부 장관, 전재희 보건복지부 장관 등 이른바 '장수 장관'이 거론되고 있다. 관심은 이들 외에 경제팀 2기의 수장인 윤증현 기획재정부 장관 등이 포함될지 여부다. 윤 장관은 강만수 전 장관(현 국가경쟁력강화위원회 위원장)의 바통을 이어받아 소방꾼의 역할을 어느 정도 성공적으로 수행해왔다는 평가다. 하지만 정책 수행의 파워나 인사 등에서 강 위원장에게 밀린데다 선거 패배가 경제 정책의 큰 방향과 맞물릴 경우 개각의 화살이 윤 장관에게 돌아올 가능성도 전혀 배제할 수는 없다. 윤 장관의 거취는 진동수 금융위원장과 담합에 따른 대규모 과징금 등으로 재계와 각을 세워온 정호열 공정거래위원장 등과 같이 할 것으로 보인다. 재보선 결과에 따라 개각의 폭이 넓어질 경우 재임 기간이 1년 이상이 된 장관들도 교체 대상으로 검토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G20 정상회의를 불과 5개월가량 남겨둔 시점에서 후임자를 선정하는 작업이 만만치 않은데다 경제팀은 이제 막 글로벌 금융위기 파고를 뚫고나와 일관된 정책기조를 유지하기 위해 G20 정상회의 개최까지는 그대로 둬야 한다는 시각이 아직까지는 우세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