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8월 2일] 설득력없는 채권단의 현대그룹 옥죄기

현대그룹과 채권단의 재무구조개선약정(MOU)체결을 둘러싼 갈등이 끝내 파국으로 치닫고 있는 형국이다. 채권단이 MOU체결을 거부한 현대그룹에 대해 대출 만기 연장을 중단하고 다음달부터 대출금을 회수하겠다고 '최후통첩'을 한 상태다. 이에 대해 현대그룹은 손해배상 소송과 공정위에 제소하겠다고 맞서고 있다. 서로 입장이 강경해 극적인 전기가 마련되지 않는 한 양측 모두 피해자가 되는 좋지 않는 선례가 되지 않을지 걱정이다


지난 8일부터 현대그룹 계열사에 대해 신규대출을 중지한지 3주 만에 만기 연장 중단과 대출금 회수란 강수를 둔 채권단 조치가 적절한지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는 지적이다. MOU체결의 주된 목적이 기업을 살리는 것인데도 이 같은 조치가 오히려 기업을 죽이지나 않을까 걱정되기 때문이다. 대출금의 이자상환에 문제가 있다면 모르지만 현대그룹은 유동자금 1조2000억원 정도를 확보하고 있어 대출원리금 상환에 전혀 문제가 없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관련기사



사태 해결을 위해선 감정적 대응을 자제해야 한다. 소송과 공정위 제소는 사태를 더 복잡하게 만들 뿐이다. 법정싸움으로 가면 장기화를 피할 수 없는데다 이전투구 형상을 띠게 사태 해결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양측의 갈등이 대화로 해결 못할 문제는 아니라고 본다.'甲'의 위치에 있는 채권단으로서는 옥죄기만 할 것이 아니라 현대그룹 주장에 귀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소통 대신 으름장만 놓는 것은 금융권의 횡포라는 이미지를 줄수도 있다.

주력 기업인 현대상선의 실적이 개선되고 있어 재무구조를 재평가 받겠다는 현대그룹의 주장은 설득력이 있다는 지적이다. 경제회복 흐름을 타고 현대상선 경영이 호전되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재무구조를 재평가 받겠다는 현대그룹 요청을 채권단이 수용하는 방향에서 사태 해결의 돌파구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해 보인다.

타기업과의 형평성을 고려해야 한다는 채권단의 입장도 이해하지만 고강도 구조조정을 동반하는 MOU체결이 경영악화를 초래할 수 있다는 현대그룹측의 입장도 충분히 감안돼야 한다. 더욱이 유동자금을 1조2000억원이나 보유하고 있는 현대그릅으로서는 그룹의 사활이 걸린 MOU체결이라는 최악의 사태를 순순히 수용하기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지금이라도 현대그룹과 채권단 모두에 피해가 돌아가는 맞대결을 피하고 상생방안을 찾기 바란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