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北 광명성 3호 국내서 첫 촬영

KAIST 오준호 교수 개발 광학식 마운트로 포착…1m 크기에 100kg 추정

북한이 지난해 12월 쏘아 올린 ‘광명성 3호 2호기’가 국내에서 개발된 천체관측용 광학식 마운트(추적장치)에 처음으로 포착됐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는 오준호 기계공학과 교수가 개발한 광학식 마운트를 이용해 광명성 3호 2호기를 촬영하는데 성공했다고 2일 밝혔다.

관련기사



국내에서 광명성 3호 2호기가 찍힌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KAIST에 따르면 오 교수는 지난달 27일 오후 9시24분10초께 KAIST 휴보랩 옥상에서 미국 북미항공우주방위사령부(NORAD)가 제공한 궤도정보와 자체 추출한 궤도요소를 입력한 뒤 광명성 3호 2호기를 5초 동안 촬영했다. 당시 위성의 고도는 23도, 방위각은 322도였으며, 휴보랩과 위성까지의 거리는 1,238km였다. 오 교수의 마운트는 정밀도가 1초각(3,600분의 1도각)에 달해, 200km 떨어진 거리에서 1m길이 막대기의 위치가 어디를 향해 있는지 까지 특정할 수 있다.

광명성 3호 2호기는 태양과 궤도면이 이루는 각이 일정한 태양동기궤도 위성이어서 매일 일정한 시각 한반도를 지나게 된다. 오전 8∼9시 또는 오후 8∼9시 사이 볼 수 있는데 겨울철에는 너무 어두워서 그 동안 관측이 어려웠다.

이번에 촬영한 데이터에 따르면 광명성 3호 2호기의 크기는 1m 정도며, 무게는 나로과학위성과 비슷한 100kg정도로 추정된다. 밝기는 7∼8등급 정도여서 맨눈으로는 관측이 거의 불가능하다.


권대경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