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골프는 내친구] 새로 나온 용품 살펴보니…

드라이버 헤드 흑과 백의 물결<br>450~415㏄까지 작아지고<br>골프볼은 비거리·탄도 강화


올해는 유난히 용품업계의 시장 점유율 경쟁이 뜨겁다. 최근 경기 침체 등의 영향으로 판매 실적이 좋지 않았던 데다 올해는 디자인이나 컬러, 소재 등에서 한층 진화된 제품들의 출시가 늘었기 때문이다. 특히 판매량이 가장 많은 클럽인 드라이버와 브랜드 충성도가 높은 골프볼의 출시 경쟁이 치열하다. 2011년형 드라이버 트렌드 가운데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헤드의 소형화다. 지난해까지 헤드 크기는 룰이 제한하는 최대치인 460㏄ 일변도였지만 올해는 다르다. 투어스테이지의 X-드라이브 705는 415㏄에 불과하다. PRGR(프로기아)의 iD435는 이름처럼 435㏄이고 타이틀리스트 910 D3는 445㏄, 캘러웨이의 디아블로 옥테인 투어는 450㏄다. 헤드 형태는 딥 페이스와 납작한 샬로 페이스의 중간 형태가 주를 이루고 있다. 기술 발달로 인해 샬로 페이스의 비거리, 딥 페이스의 정확도 등 각각의 장점을 아우를 수 있게 돼 올해는 중간 형태가 많다. '맞춤형' 콘셉트도 한층 강화됐다. 맞춤형은 샤프트 선택형과 튜닝형의 두 가지로 나뉜다. 맞춤형은 전문 브랜드 샤프트로 주문 장착할 수 있으며 PRGR iD435, 캘러웨이 디아블로, 타이틀리스트 910 등이 예다. 간단한 조작으로 헤드 특성을 바꾸는 튜닝형 제품에는 테일러메이드 R11, 타이틀리스트 910, 나이키 SQ 마하스피드 블랙, 코브라 S3 등이 있다. '색깔 대결'도 흥미롭다. 테일러메이드의 R11과 버너 슈퍼패스트2.0이 흰색 헤드로 포문을 열었다. 경쟁사인 캘러웨이의 레이저(RAZR) 호크는 블랙으로 맞대응 하는 모양새다. 골프볼은 점유율 1위 타이틀리스트와 2위권 브랜드들의 대결 양상이다. 특징은 물리적으로 동시에 만족시키기 힘든 스피드(speed)와 부드러움(softness), 스핀(spin) 등 이른바 '3S'를 모두 잡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타이틀리스트는 프로 V1과 프로 V1x의 탄도와 비거리 부분을 강화했다. 2년 주기로 업그레이드돼 6세대째인 이번 제품은 균질하게 제작된 코어와 개선된 딤플 패턴으로 샷의 일관성을 높이는 데 초점을 맞췄다. 스릭슨 뉴 Z-스타 시리즈를 내놓은 던롭코리아는 타사 제품에 비해 성능에 만족하지 못할 경우 100% 환불해주는 공격적인 마케팅을 펼치고 있다.

관련기사



박민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