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A형 간염 등 감염자 혈액 버젓이 유통

A형간염 보균자, 말라리아 감염자의 혈액이 버젓이 유통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일 대한적십자사가 최영희 민주당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2008년 이후 현재까지 14명의 A형 간염 보균자가 헌혈해 24개의 혈액제제가 만들어졌으며 이 혈액을 수혈받은 환자 중 2명이 A형간염에 감염됐다. A형간염은 대부분 감기처럼 가벼운 증상을 보이고 회복되지만 연령이 높거나 만성 간질 환자의 경우 혼수상태에 빠질 수 있는 전격성 간염으로 진행될 수 있다. 최 의원은 “중증 질환자가 수혈을 받으면 최악의 상황이 발생할 수 있는 만큼 문진 강화 등의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원희목 한나라당 의원은 말라리아 감염 위험 혈액이 다른 사람에게 수혈되거나 혈액제제로 사용되는 사례가 이어지고 있다고 주장했다. 대한적십자사가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2009년부터 올해 8월까지 말라리아 감염 위험이 있는 헌혈부적격자의 헌혈건수는 2,064건이다. 원 의원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한국은 말라리아 발생률 1위 국가지만 말라리아는 혈액검사 대상이 아니어서 헌혈 부적격자를 제대로 걸러내지 못하고 있다”며 “말라리아에 대해서도 헌혈 혈액검사를 실시하고 헌혈 보관검체에 대한 사후조사도 병행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