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60대 이상 심혈관 질환자 女 > 男

60대 이상의 고령 연령대에서는 남성보다 여성 심혈관 질환 환자가 더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지난 2006년부터 지난해까지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결과 '심혈관 질환' 진료환자가 이 기간 449만2,000명에서 574만6,000명으로 연평균 6.3%씩 증가했다고 14일 밝혔다. 성별 환자 추이를 보면 남성 환자는 이 기간에 203만7,000명에서 271만9,000명으로 1.33배, 여성 환자는 245만5,000명에서 302만7,000명으로 1.23배 늘었다. 눈에 띄는 것은 50대까지는 남자 환자 비율이 여성에 비해 높지만 60대부터는 비율이 역전된다는 점이다. 지난해 60대 심혈관 질환 환자 수는 160만3,357명으로 이 가운데 여성 환자는 86만4,276명(53.9%)으로 남성 환자(73만9,081명, 46.1%)보다 많았다. 70대에서도 여성 환자 수가 월등히 많았고 80대 이상 연령대에서는 여성 환자(32만5,250명)가 남성 환자(12만5,208명)의 2.66배에 달했다. 이처럼 고령층 여성의 심혈관 질환 발생이 높은 것은 혈관보호 효과가 있는 여성 호르몬(에스트로겐)이 폐경기 이후 급격히 줄어들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심혈관 질환이란 심장에 산소와 영양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에 콜레스테롤을 함유하는 동맥경화증이 발생해 혈류를 차단, 심근에 손상이 오거나 신체장애가 나타나는 질환으로 심근경색, 협심증 등이 대표적 심혈관 질환이다. 양주영 일산병원 심장내과 교수는 "심혈관 질환에 따른 장애 발생 또는 사망을 예방하려면 규칙적인 혈압과 혈당 관리가 중요하며 금연, 과음자제와 더불어 건강한 식사습관을 유지해야 한다"며 "하루 30분 이상 주 4회 운동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당부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