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짙은 '졸백'의 그림자

글로벌 금융위기로 20~30대 고용률 회복 안돼

SetSectionName(); 짙은 '졸백'의 그림자 글로벌 금융위기로 20~30대 고용률 회복 안돼 서민우기자 ingaghi@sed.co.kr

IMF 외환위기 당시 50대가 직격탄을 맞은 것과 달리 이번 글로벌 금융위기에서는 20~30대가 가장 큰 피해를 본 것으로 분석됐다. 외환위기 당시 사오정(45세면 은퇴)이라는 말에 이어 최근에는 졸백(졸업하자마자 백수)이라는 말이 유행하는 것과 무관하지 않다. 17일 한국고용정보원(원장 정인수) 인력수급전망센터에 따르면 글로벌 금융위기가 우리나라에 본격적으로 상륙한 지난 2008년 4ㆍ4분기를 기준으로 연령대별 고용률 회복속도를 분석한 결과 20대와 30대의 젊은층의 고용률 하락폭이 두드러졌다. 고용률은 15세 이상 생산가능 인구에서 취업자가 차지하는 비율로 금융위기가 시작되기 전인 2007년 4ㆍ4분기 20~29세의 고용률은 59.9%였지만 금융위기가 한창이던 2009년 1ㆍ4분기에는 57.1%로 2.8%포인트나 하락했다. 같은 기간 30~39세의 고용률도 73.6%에서 71%로 2.6%포인트 떨어졌다. 더욱 우려되는 점은 금융위기가 진정국면에 들어섰지만 20~30대 젊은층의 고용률이 좀처럼 회복되지 못하고 있다는 것. 지난해 4ㆍ4분기 이들 세대의 고용률은 각각 58.1%와 71.7%로 금융위기 이전 수준을 밑돌았다. 금융위기로 직격탄을 맞은 20~30대에 비해 40대와 50대는 상대적으로 고용위기를 덜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4ㆍ4분기 이들 세대의 고용률은 각각 77.9%와 70.9%로 금융위기 이전 수준에 근접하거나 약간 웃돌았다. 고용정보원의 한 관계자는 "1997년 외환위기 때 40~50대 숙련인력을 감축한 뒤 경기회복 때 인력확보에 고생했던 기업들의 학습효과와 정부의 고용유지사업이 효과를 발휘한 것으로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1997년 외환위기 당시에는 50~59세 연령층의 고용이 가장 큰 타격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1997년 4ㆍ4분기 71.2%이던 50대 고용률은 외환위기의 여파로 하락세를 이어가다 1999년 1ㆍ4분기 61.4%로 약 10%포인트나 빠졌다. 당시 이들 세대가 기업 구조조정의 우선순위였던데다 민간소비 위축으로 자영업이 침체를 거듭했기 때문이라고 고용정보원은 분석했다. 고용정보원은 금융위기를 겪으면서 크게 하락한 고용률을 회복하려면 ▦단기적으로는 내수 활성화 ▦중장기적으로는 기업의 인력운영 개선과 노사관계 안정화에 따른 기업 내부 노동시장 유연화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글로벌 금융축 다시 흔들린다] 기획·연재기사 전체보기 [이런일도… 부동산시장 뒤집어보기] 전체보기│ [실전재테크 지상상담 Q&A] 전체보기 [궁금하세요? 부동산·재개발 Q&A] 전체보기│ [알쏭달쏭 재개발투자 Q&A] 전체보기 [증시 대박? 곽중보의 기술적 분석] 전체보기│ [전문가의 조언, 생생 재테크] 전체보기 혼자 웃는 김대리~알고보니[2585+무선인터넷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