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일본 대지진] "여진 지속… 원전 사고 또 일어날 수도" 사실상 공황상태

■후쿠시마 원전지역<br>방사선량 법적 한계치 넘어… 방사능 노출 크게늘듯<br>"日원전 안전신화 깨져 에너지정책 재검토 불가피"

폭발 사고가 발생한 후쿠시마(福島) 원자력발전소와 주변지역은 '방사능 공포'로 사실상 공황상태에 빠져 있다. 일본 열도는 지난 1945년 2차 대전 종전을 가져온 히로시마ㆍ나가사키 원폭 피해의 악몽을 떠올리고 있다. 세계 최고 수준의 안전성을 자랑했던 일본의 원자력발전소도 자연의 마력 앞에서는 무기력했다 일본 정부는 12일 후쿠시마 제1원전 제1호기에서 원자로나 우라늄 연료의 일부가 녹는 '노심용해(멜트다운)' 현상이 일어나 방사능 물질인 세슘과 방사성 요오드가 누출된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이어 13일에도 후쿠시마 제1원전 3호기에서 연료봉들이 잠시 노출돼 부분적 노심용해가 진행될 수 있다고 정부가 밝히는 등 긴급상황이 잇따르고 있다. 일본 전역에서 가동 중인 총 54기의 원자로 중 지금까지 6기의 원자로에서 냉각시스템 이상이 발견됐다. 여기에 여진이 지속돼 추가적인 사고 가능성을 높이면서 일본 주민들은 극도의 공포감에 휩싸여 있다. 교도통신은 도쿄전력의 발표를 인용해 후쿠시마 제1원전 지역의 방사선량이 법적 한계치를 넘어섰다고 보도했다. 현재 방사능 물질에 노출된 인원은 160여명에 달했다는 보도까지 나왔다. 당국은 인근 주민 20만여명에게 긴급 대피령을 내렸으며 원전 직원들은 대피소에서 주민들의 상태를 일일이 검사하며 방사능 확산차단에 나서고 있다. 일본 원전에서 노심용해 현상이 발생한 것은 처음이다. 교도통신은 "예상하지 못한 대규모 지진 탓이라고 해도 노심용해가 처음 일어났다는 사실이 확인된 만큼 원전의 안전성은 크게 흔들리게 됐다"고 지적했다. 도쿄신문은 정부와 발전회사의 초동대응 부실로 단순사고가 최악의 사고로 악화됐다고 지적했다. 일본 정부는 "원전이 지진충격에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됐고 실제 지진이 일어나면 가동이 자동 중단된다"며 안전성을 장담해왔다. 세계 최고 수준인 일본의 내진설계 기술이 이러한 호언장담을 뒷받침했다. 정부는 전력공급에서 원자력발전 비중을 현재 30%가량에서 오는 2017년까지 40%, 2030년까지 50%로 끌어올릴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이번 사고로 일본 원전의 안전신화는 깨졌다고 현지언론들은 전했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원전의 안전확보를 위해서는 이중삼중의 봉쇄대책을 갖춰야 하는데 후쿠시마 원전 1호기는 이 부분에서 실패했다"고 비판했다. 마이니치신문은 "정부는 저탄소 에너지인 원전 비율을 크게 높이는 정책을 추진했지만 이번 사고로 원전에 대한 국민의 불신이 높아질 것"이라며 "에너지 정책의 근본적인 재검토가 불가피해졌다"고 진단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