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불황여파 “평생일터는 옛말”/연말 실직공포 확산(감원의 회오리)

◎30대그룹,임원도 최고 30% 감축/벌써 2만여명 직장떠나불황이 장기화되면서 기업의 대량 해직사태가 본격화되고 있다. 올들어 30대그룹은 부도와 감량경영, 계열사 매각 및 통폐합 등으로 지난해의 두배가 넘는 2만여명을 감원했으며 연말 정기인사에서 임원의 10∼30%를 줄이고 간부사원은 물론 평사원까지 명예퇴직·권고사직 등을 통해 감원, 기업의 「해직공포」와 고용불안이 최대현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12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올들어 30대그룹 가운데 감원을 단행한 그룹은 대우·선경·쌍룡·한진 등 16개, 실질적인 감원효과를 나타내는 인력재배치를 실시한 곳은 현대·LG·두산·코오롱 등 17개 그룹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경영위기가 본격화되면서 자의반 타의반으로 회사를 떠난 사람은 기아 8천8백여명을 비롯 진로 2천7백명, 한보 2천2백명, 해태 6백명 등 4개그룹에서만 1만4천3백명에 달하고 있다. 여기에 구조조정을 위해 1천5백명을 줄인 두산그룹을 비롯 계열사 매각을 추진하고 있는 뉴코아, 신호 등도 감원이 불가피해 해직자는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이같은 인력조정으로 올들어 30대그룹의 임직원 감원규모는 2만명에 이르며 연말 정기인사와 내년초 간부인사가 끝나면 해직자수는 훨씬 더 늘어날 전망이다. 경총관계자는 『연말 정기인사에서 그룹별로 단행할 임원 및 직원의 감원을 고려할 때 30대그룹의 인력조정 규모는 올해 3만명을 훨씬 넘어설 것』으로 내다봤다. 주요기업들이 추진하고 있는 인력조정 방법은 ▲권고사직 ▲명예퇴직 ▲해외배치 ▲관리직의 영업 전환배치 ▲자회사 및 협력업체 파견 등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재계는 내년에도 불황이 지속될 것으로 보고 감원등 인력조정을 가속화한다는 방침이어서 실직문제가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될 전망이다. 이같은 대량 해직바람은 부도기업이나 경영난을 겪는 일부 그룹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재계 전체의 문제가 되고 있다.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간판기업들도 구조조정을 추진하면서 부도기업 못지 않은 인력조정을 실시하고 있는 것이다. 삼성은 전자·중공업·항공 등 적자·한계사업을 중심으로 3년 안에 6만명의 인력을 재배치하거나 감축하고 이번 정기인사에서 임원 10%를 줄이기로 했다. 현대의 간판기업인 자동차는 최근 전체 임원의 30%를 줄이기로 했으며 1백50명이 넘는 간부사원들에 대한 권고사직도 추진하고 있다. 대우는 임원정년제를 통해 임원수를 줄이고 1천2백명의 임원 가운데 절반을 단계적으로 해외에 전진배치하기로 했다. 쌍용그룹의 자동차는 임원 20명, 간부 3백명 등 모두 1천4백명을 재배치 및 감축했고 양회도 지난 5월 전체 직원의 20%를 줄인데 이어 올 인사에서 임원 20%를 줄이기로 했다. 재계의 대량해직 사태는 특히 대기업 부도사태 지속과 주가폭락, 환율 1천원시대 도래, 고금리 등 경영환경이 악화되면서 더욱 심화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따라 내년도 노사협상에서는 고용안정이 최대현안이 될 전망이며 실제로 현대자동차는 총파업을 결의하는 등 고용문제에 대한 노사갈등이 본격화되고 있다. 재계는 생존을 위해 불가피하다는 감원과 평생직장의 개념이 깨지면서 초래될 구성원들의 고용불안 속에서 더욱 힘겨운 경영을 해야 할 형편이다. 김영배 경총상무는 『실직자들을 위한 재취업 프로그램과 창업지원, 한계사업 퇴직자에 대한 노후설계프로그램 등이 적극적으로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이의춘 기자>

관련기사



이의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