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정부, 北에 “이산가족 회담 적극 나서라” 촉구

금강산 관광은 신변안전 보장이 우선

정부는 북한이 이산가족 상봉 회담을 보류한 데 대해 유감을 표명하면서 회담에 적극적으로 나올 것을 촉구했다.

김형석 통일부 대변인은 12일 정례브리핑에서 북한의 전날 회담 보류를 통보한 것과 관련, “우리 정부가 이산가족 문제를 촉구하고 대화제의도 한 데 대해 북한이 나오지 않고 있는 것은 당연히 유감스럽다”고 밝혔다.


김 대변인은 “이산가족 문제는 순수 인도적 사안이고 하루속히 해결해야 한다는 차원에서 북한의 적극적인 호응과 구체적인 실천적인 조치를 취하도록 계속적으로 촉구한다”고 말했다.

김 대변인의 발언은 북한의 회담 보류 통보에도 불구하고 “오는 19일 판문점에서 이산가족 상봉 회담을 개최하자”는 우리 측 수정제안은 유효하다는 입장을 밝힌 것으로 풀이된다.


그는 “고령의 이산가족이 7만5,000여명”이라면서 “이들의 절절한 심정을 하루속히 해결하는 것이 대한민국의 책무이며 북한도 인도적 측면에서 해결해야 하고 무시해서는 안 되는 사안”이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김 대변인은 이날 중단 5년째를 맞은 금강산 관광 재개문제와 관련, ‘관광객 피격사건의 재발방지책과 우리 국민의 신변안전 보장이 우선돼야 한다’는 정부의 입장을 재확인했다.

그는 “무고한 우리 국민이 피격·사망한 사건이 다시 있어서는 안 되기 때문에 가장 중요한 것이 관광객들의 신변안전”이라면서 “일반적인 상식과 국제적인 기준에 부합해 우리 국민과 국제사회가 납득할 만한 수준의 여건이 구비돼야 한다”고 말했다.

김 대변인은 “오늘 오전 9시에 개성공단 기업 관계자 174명, 차량 123대가 군사분계선을 통과해 개성공단을 방문했다”면서 “오늘 오전 기업들이 물품 반출 내역을 확정해 북한에 신청하는 절차를 거쳐 물품을 반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그는 민간단체의 대북지원 문제와 관련, “접수된 것은 과거부터 있었고 연초부터 접수 신청을 하겠다고 한 곳도 있지만 구체적인 단계로 들어간 대북지원 단체가 있다는 얘기는 듣지 못했다”면서 상황을 주시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디지털미디어부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