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소화기환자 13% 간흡충 감염

대한소화기학회 "일부는 담관암으로 악화"

소화기계 증상으로 입원치료를 받는 환자의 12.9%가 간흡충(간디스토마)에 감염된 병력이 있으며 일부는 이 때문에 담관암으로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소화기학회는 전국 26개 대학병원과 2차 병원에서 소화기계 증상으로 입원치료받은 3,080명을 대상으로 간흡충 유병률을 조사한 결과 12.9%(496명)가 간흡충에 감염돼 있거나 그런 적이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고 11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대구가톨릭대병원 김호각 교수와 서울아산병원 김명환 교수 등 전국의 소화기내과 교수 33명이 참여한 소화기학회가 처음로 실시한 대규모 공식 조사에서 밝혀졌다. 논문은 ‘세계위장관학회지(World journal of gastroenterology)’ 최근호에 실렸다. 논문에 따르면 조사대상 환자 중 37.2%(1,140명)가 민물고기를 생식한 적이 있고 이 중 238명(20.9%)이 간흡충에 감염된 상태였다. 또 민물고기를 날로 먹은 적이 없거나 기억할 수 없는 1,940명 중에서도 6.5%(157명)가 간흡충에 감염돼 상당수가 칼ㆍ행주ㆍ도마 등 매개물을 통해 간접감염된 것으로 추정됐다. 지역별 간흡충 감염률은 낙동강ㆍ영산강ㆍ섬진강ㆍ형산강 등 남부지방의 강 유역에서 민물고기를 생식한 사람들이 33.8%로 한강ㆍ금강ㆍ만경강ㆍ동진강 등 중부지방(8.6%)에 비해 월등히 높았다. 3,080명 중 담관암 환자는 179명(5.8%)이었다. 이 가운데 간흡충 감염자는 8.6%로 비(非)감염자(5.4%)보다 많았다. 남부지방의 강에서 민물고기를 생식한 사람들의 담관암 유병률은 7%로 중부지방(3.4%)의 2배를 웃돌았다. 간흡충은 길이가 1㎝ 정도에 불과한 기생충으로 사람의 대변을 통해 배출된 기생충 알이 ‘제1 중간숙주’인 쇠우렁이 등 패류에 들어가 기생하다 ‘제2 중간숙주’인 잉어과 민물고기의 근육에 침입했다가 이를 먹은 사람에게 옮겨진다. 간흡충은 민물고기를 조리한 도마ㆍ칼 등을 통해 다른 음식을 조리할 때도 감염되며 30년 이상 기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