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부동산일반

[눈길 끄는 입주단지를 찾아서] 잠실 시영 파크리오 아파트

"편의시설 완비" 6,800가구 매머드급 단지<br>공원·초·고교·공공청사등 갖춰 편리…전세문의 많아<br>110㎡형7억5,000만~9억원…인근보다비교적싸<br>"중학교 없고 확장·새시등 개별 인테리어 공사는 단점"


지난 29일 찾은 잠실 시영 파크리오아파트. 입주가 시작된 이날 아파트 단지 내부에서는 사다리차가 분주히 움직이며 이삿짐을 옮기고 있었다. 아파트 입구에는 파크리오아파트 이름을 새긴 현판 설치 작업이 이뤄지는 등 마지막 단장에 분주했다. 전체 가구수가 6,864가구에 달하는 대단지 아파트인 잠실 파크리오아파트에 드디어 입주가 시작됐다. 2005년 5월 착공해 3년4개월 만에 시작되는 것이다. 가구수가 7,000가구에 육박하는 만큼 시공사도 삼성물산을 비롯해 두산건설ㆍ대림산업ㆍ쌍용건설ㆍ코오롱건설ㆍ현대건설 등 6개 건설사가 공동으로 시공했다. 6개의 건설사가 시공했지만 아파트 단지 브랜드는 파크리오로 통일했고 아파트 동에서도 개별 시공사의 브랜드는 찾아볼 수 없다. 마감재 역시 대동소이할 정도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단지 내에는 2개의 근린공원과 초등학교 2개, 고등학교 1개 등 공원과 학교, 공공청사 건물이 배치돼 단지 안에서 모든 생활을 할 수 있을 정도다. 이 같은 편의시설로 전세 계약은 전체 가구수의 30%에 육박할 것이라고 인근 중개사들은 설명했다. 인근 현대공인중개사의 한 관계자는 “전세 계약은 아마도 2,000가구를 넘는 수준에서 거래가 이뤄질 것”이라며 “전세도 현재 110㎡형 기준으로 2억2,000만원선에도 구할 수 있어 문의가 지속되고 있다”고 전했다. 하지만 거래는 최근 뚝 끊겼다. 7월5일 건설사들이 파크리오아파트에 대한 보존등기 절차에 들어가면서 매매 거래가 불가능해졌기 때문이다. 인근 중개사들은 보존등기 이후 매매가 재개될 경우 보존등기 절차 이전 거래금액보다 한 계단 올라갈 것이라고 내다봤다. 진주공인중개사의 한 관계자는 “최근 대출금리가 상승하고 거래가 이뤄지지 않는다고 하지만 파크리오는 잠실2단지보다 5,000만~1억원이나 저렴한 만큼 매수 문의가 많다”며 “110㎡형 매매 가격이 7억5,000만원에서 9억원에 거래된 점을 감안할 때 추가 상승 여지가 높다”고 강조했다. 대단지 아파트지만 수요자층이 선호하는 동은 뚜렷하다. 311~317동은 올림픽 공원을 조망할 수 있고 224~228동은 한강을 부분적으로 조망할 수 있어 매수자들의 문의가 많은 특징을 보인다. 다만 단지 내에 중학교가 없다는 점과 확장과 새시 공사를 시공사가 아닌 개별 인테리어 업체에서 진행하는 만큼 AS문제 등이 불거질 수 있는 점이 단점으로 꼽힌다. 또 최근 입주하는 아파트 대부분에는 실내 바닥에 에어컨 배관이 설치돼 있는 반면 파크리오는 이 같은 편의성 면에서 부족하다는 평가다. /김상용기자 kimi@sed.co.kr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