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대구 8개 구·군, 교육국제화 특구 유치 총력전

광역단위 신청 따라 심사 후 2개구 선정에<br>수성구 등 "교육 인프라 우수… 우리가 적임"<br>낙후 기초지자체도 "발전 기회" 뛰어들어

대구시 8개 구·군이 최종 2곳이 선정될 '교육국제화특구'를 놓고 사활을 건 유치전을 펼치고 있다.

교육과학기술부는 지난달 28일 대구교육국제화특구를 지정·고시했다. 전국적으로 대구 2곳의 기초자치단체를 포함, 인천 연수구와 서구·계양구, 전남 여수시 등 모두 5곳의 기초지자체가 교육국제화특구로 지정됐다. 다만 대구의 경우 다른 후보지와 달리 특정지역을 정하지 않고 광역단위로 신청함에 따라 추후 특구 운영 의지 등을 심사해 2개구를 최종 선정하게 된다.


이에 따라 교육인프라가 우수하고 재정 부담 능력도 있는 수성구·달서구 등은 물론 상대적으로 낙후돼 있는 기초지자체도 교육국제특구를 지역발전의 획기적인 전기로 삼기 위해 유치전을 본격화하고 있다.

교과부가 5개년 계획으로 추진하고 있는 교육국제화특구는 의무교육 단계에서부터 외국어 구사 능력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고, 해외 취업이나 해외 기업과의 산학협력이 이뤄질 수 있도록 제도적으로 뒷받침을 해주는 제도다. 기존 교육과정에 의존하지 않고 탄력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대구시는 특구육성계획안을 수립, 5년간(2013~2017년) 총 1,242억원의 사업비를 요청해 놓은 상태다. 전체 사업비는 국비 40%, 교육특별회계 10%, 지방비 50%로 구성된다. 대구시가 구상하고 있는 교육국제화특구 세부 사업은 글로벌 창의교육과정 운영을 비롯, 영어교사 역량 강화, 초등 방과후 통합영어교육, 대구형 국제고등학교 설립, 글로벌 국제통상고·특성화고 설립 및 운영, 국제화 전문인력 양성, 글로벌 복수학위 통합지원 캠퍼스 운영 등이다.

관련기사



대구 동구의회는 최근 교육국제화특구 유치 결의문을 채택하고 특별위원회를 구성했다. 동구의회는 "국제학교와 대구일과학고가 있는 동구는 특구 지정 관련법에 나와 있는 외국어 교육 및 국제화교육 활성화, 교육국제화 인프라 구축이 가장 우수한 자치단체로, 반드시 교육국제화특구를 유치해야 한다"고 결의했다.

중구의 경우 '교육특구 유치=도심 재생 극대화'로 판단하고 유치전에 적극 나서고 있다. 재정이 열악한 중구는 지방비 부담을 최소화하기 위해 소규모 동의 통폐합을 지속적으로 추진, 빈 청사가 생기면 외국어 체험센터로 활용하는 등 기존 시설물을 최대한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서구의 경우 인구 유출의 주된 요인이 교육인프라 부재 때문이라는 판단에 따라 교육특구 유치에 적극 나서고 있고, 남구 역시 특구 지정이 침체된 남구 이미지를 변화시킬 돌파구로 인식하고 있다. 달성군도 교육특구 지정을 위해 달성교육지원청과의 공동 태스크포스팀을 구성·운영하는 등 실무 준비 작업에 들어갔다.

대구시와 대구시교육청 관계자는 "8개 구군 모두 교육특구 유치에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며 "조만간 특구 지정 관련 설명회를 개최한 뒤 심사위원회 구성 및 심사기준을 마련, 다음달 초 2곳의 교육국제화특구를 선정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손성락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