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경제관료 최고의 컨트롤 메이커

■ 임종룡 농협금융 회장은<br>신경분리 완결 적임자 평가

/연합뉴스

관료들이 늘 안타까워하던 임종룡 전 국무총리실장이 화려하게 컴백했다.

신임 농협금융지주 회장에 임 전 실장이 내정된 것은 청와대와 농협의 파워게임의 산물로 해석된다. 청와대가 선호한 배영식 전 의원과 최원병 농협중앙회장이 지원한 정용근 전 농협신용대표 사이에서 결론을 내지 못해 결국 모피아(재무부+마피아) 출신인 임 전 실장이 낙점됐다는 것이다. 공교롭게도 전임 신동규 전 농협금융지주 회장도 같은 전철을 밝았다. 지난해 신 전 회장 선임 당시에도 권태신 전 국가경쟁력강화위원회 부위원장과 이철희 전 캠코 사장(현 서울신문 사장)이 경합한 끝에 제3의 인물인 신 전 회장이 어부지리를 얻었다.


임 전 실장은 경제관료 최고의 컨트롤메이커로 통한다. 합리적이고 온화한 성격인데다 금융 분야에 대한 전문성까지 갖추고 있어 농협의 신경분리를 완결할 적임자라는 평가가 많다. 자기 주장이 유독 강해 구설에 오르내렸던 신 전 회장과 달리 농협의 최대 권력자인 최 회장과 원만한 관계를 유지하면서 얻어낼 것은 얻어내는 정치력을 발휘할 것이라는 관측이다.

관련기사



실제 임 전 실장은 30여년의 공직 생활에서 조정자 역할을 주로 맡아왔다. 청와대 경제금융비서관, 기획재정부 기획조정실장 등을 역임했다. 이후 기재부 1차관을 거쳐 국정 전반을 총괄하는 국무총리 실장(장관급)까지 지냈다. 특히 기재부 1차관 시절에는 경제정책을 입안하면서 부처 간 이견을 완만히 조정하는 데 탁월한 역량을 발휘했다.

이명박 정부에서 출세가도를 달린 임 전 실장이 새 정부 출범 이후에도 금융위원장, KB금융지주, 산은금융지주 회장 등 주요 보직의 유력 후보로 이름을 올린 것도 이 때문이다.

임 전 실장이 넘어야 할 첫 번째 산은 무엇보다 최 회장과의 관계 설정이다. 농협금융지주 회장 자리는 농협중앙회와 농협은행 사이에 끼인 어중간한 자리다. 대주주인 농협중앙회로부터 사사건건 간섭을 받아야 한다. 권한은 적은 반면 책임은 막중하다. 전산마비 등 대형 사건이 터지면 모든 책임을 뒤집어써야 한다. 한 금융계 관계자는 "다른 금융지주 회장과 달리 농협금융지주 회장은 제왕적인 권력을 행사할 수 없다"며 "임 회장이 임기 내에 성과를 내려면 이전과는 차원이 다른 정치력을 발휘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농협중앙회는 임 전 실장의 지주 회장 내정에 앞서 이사회를 열고 전무이사에 김태영 전 농협중앙회 신용부문 대표, 농업경제 대표이사에 이상욱 중앙회 홍보담당 상무, 상호금용 대표에 김정식 교육지원 상무, 조합감사위원장에 김사학 NH농협은행 부행장을 각각 선임했다.

김능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