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LPGA 3인방 릴레이 레슨] <30>이미나-그린 주변 퍼팅

프린지서 그린까지 거리 2배로 계산해 스트로크

그린 주변 프린지에서 퍼팅을 할 경우 프린지에서 그린까지의 거리를 2배로 계산해 스트로크하는 것이 요령이다.

잭 니클러스는 ‘잘못된 퍼팅이 잘 된 칩 샷보다 훨씬 낫다’고 말할 정도로 퍼터를 신뢰했다. 많은 아마추어가 ‘퍼터는 그린 위에서 쓰는 것’이라고 맹신하고 있지만 골프룰 어디에도 퍼터를 그린에서만 쓰라는 조항은 없다. 그린주변이나 턱이 낮은 벙커 등 어디에서도 퍼터를 쓸 수 있다. 요즘처럼 잔디가 말라 지면에 붙는 겨울이라면 퍼터는 더 다양하게 쓸 수 있다. 특히 프린지에서는 웨지보다 퍼터를 잡는 것이 유리하다. 다만 잔디가 역결이라면 웨지가 낫고 퍼터를 잡았더라도 퍼팅 그린보다 잔디가 길기 때문에 ‘특별한 계산’을 해야 하는 등 주의가 필요하다. 프린지에서 해야 하는 ‘특별한 계산’을 소개하겠다. 일단 프린지에서는 볼이 그린만큼 구르지 않기 때문에 두 배 정도 세게 스트로크 해야 한다. 볼에서 컵까지가 10m, 볼에서 그린 에지까지 3m, 그린 에지에서 컵까지의 거리가 7m인 경우를 생각해 보자. 이 때 볼에서 그린 에지까지 굴러가는 3m는 퍼팅 그린의 두 배 정도인 6m로 계산한다. 그린 에지에서 컵까지는 그린이므로 그대로 7m의 감으로 굴리면 된다. 따라서 이 경우 총 13m의 거리감으로 스트로크하면 홀 반경 50cm에 볼이 멈추게 된다. 프로 선수는 연습라운드 때 프린지에서 컵까지 볼을 굴리는 연습을 한다. 그린 에지에서 하는 퍼팅은 ‘황금알을 낳는 거위’처럼 항상 멋진 결과를 낳지는 않지만 영양가 높은 계란을 낳는 ‘씨암탉’같은 존재는 된다. 올 겨울에는 퍼터의 활용법을 잘 익혀두길 바란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