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이통사 '게릴라 마케팅' 기승

주말·공휴일에만 불법 휴대폰 보조금 집중포화<br>단속 소홀한 틈타 가입자 유치 경쟁 치열<br>일부선 "전면전으로 확대될 수도…" 우려

이동통신업체들이 통신위원회의 시장 감시 활동이 느슨해지는 공휴일과 주말을 겨냥해 불법 휴대폰 보조금을 뿌리고 있다. 4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이통사들이 평일에는 대부분 합법적인 보조금만을 지급하다가 주말이나 공휴일에는 10만~15만원에 달하는 불법보조금을 집중적으로 살포하는 ‘게릴라식’ 마케팅을 펼치고 있다. 이는 새 보조금법이 시행되면서 번호이동 뿐 아니라 기기변경 대상자로까지 지급 범위가 대폭 늘어 자금 부담도 그만큼 커졌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이통사들은 자금 부담을 최소화하면서 새로운 가입자를 한 명이라도 더 유치하기 위해 공휴일에만 불법 보조금을 집중 투하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실제로 지방자치단체장 선거일인 지난달 31일의 경우 SKT와 LGT가 경쟁이라도 하듯 최고 15만원 가량의 불법 보조금을 살포했다. 특히 각 대리점이 실적을 집계하는 월말인 탓에 양측의 경쟁이 더욱 불을 뿜었다. LGT는 SKT에게 가입자를 뺏기는 것을 막기 위해 ‘어쩔 수 없이’ 불법 보조금을 뿌렸다는 광고를 게재하는 촌극까지 벌였다. 지난 주말에도 상당수 이통사 대리점들이 ‘주말 특가’라는 플래카드를 내걸고 불법 보조금을 지급했다. 더구나 새로운 보조금법이 시행된 후 2개월 연속 가입자가 줄어든 KTF도 다른 경쟁업체와 마찬가지로 보조금 살포 대열에 가세했다. 이에 따라 한 동안 잠잠했던 보조금 경쟁이 6월부터 한층 치열해질 기미를 보이고 있다. 이통사들이 주말이나 공휴일에 불법 보조금을 뿌리는 것은 공무원들의 휴무로 통신위원회의 감시가 느슨해지기 때문이다. 통신위원회는 평일에는 ‘불법 보조금 점검반’을 가동하며 수시로 시장 상황을 확인한다. 하지만 공휴일에는 통신위 점검 인력이 절반으로 줄어들기 때문에 비교적 자유롭게 불법 보조금을 뿌릴 수 있다. 이에 따라 일부에서는 이동통신사들의 게릴라식 불법보조금 지급 경쟁이 자칫 ‘전면전’으로 확대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서울 대형 전자상가의 한 대리점 관계자는 “평일에 비해 손님이 많고 정부의 단속 강도가 다소 느슨한 주말에 비교적 많은 보조금을 얹어 고객을 유치한다”면서 “고급모델에 속하는 일부 지상파DMB 휴대폰도 공짜로 제공될 정도”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