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與 전대준비위 구성·권한싸고 신당파-당사수파 신경전

사수파 "실질적 권한 가져야"…신당파 "결정권은 비대위에"

열린우리당 전당대회 준비위원회 구성과 권한문제가 통합 신당파와 당 사수파간 갈등의 핵심 쟁점으로 부상하고 있다. 비상대책위원회는 지난 21일 밤 회의를 열어 ‘정무형’전대준비위를 구성한다는 방향으로 가닥을 잡았다. `정무형' 전대준비위란 현재 당 사수파의 해체요구에 직면한 비대위가 신당파와 사수파간 갈등의 핵심 쟁점인 전대 의제와 일정을 논의하지 않고 전대준비위에서 이를 논의한다는 내용으로 요약된다. 따라서 전대준비위는 신당파, 사수파는 물론 당내 각 계파가 참여해 통합수임기구 구성 논란, 지도부 경선 또는 합의추대 문제 등 쟁점사항을 조율하는 ‘정치적 협의체’ 성격으로 운영될 전망이다. 신당파와 사수파도 비대위가 제안한 성격의 전대준비위 구성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이지만 정무형 전대준비위와 비대위와의 권한관계, 구성 면면을 놓고 벌써부터 신경전을 펼치고 있다. 사수파는 전대준비위가 전대의제 등을 논의하게 되더라도 비대위가 최종결정 권한을 행사하는 형태로 가서는 안 된다는 입장이다. 사수파 의원들의 모임인 ‘혁신모임’소속 김형주 의원은 언론과의 통화에서 “비대위가 정무적 기능을 가지더라도 비대위가 최종결정을 한다면 전대준비위는 비대위의 꼭두각시에 불과하다”며 “전대준비위는 전대 규칙, 절차 등 전대 전반사항에 관해 실질적인 권한을 가져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통합 신당파측 한 비대위원은 “비대위는 중앙위의 권한을 위임 받았기 때문에 전대준비위는 비대위의 산하기구일 수밖에 업다"며 "전대준비위가 전대 의제 등을 논의하더라도 비대위가 최종결정권을 가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정무형 전대준비위에 신당파, 사수파가 얼마나 참여하게 될지도 양측의 기 싸움을 더욱 고조시킬 것으로 보인다. 전대 준비위에 얼마나 자기 사람을 심어놓는가에 따라 전대 의제를 각자에게 좀 더 유리한 방향으로 이끌어낼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전대준비위원장의 경우 계파색이 옅은 중진급 인사가 맡아야 한다는 데는 양측의 이견이 없어 보인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