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문화

‘한국 기독교사 100대 사건’ 책으로 나온다.

1885년 4월 언더우드와 아펜젤러 선교사가 제물포항에 첫발을 내디디면서 한국의 기독교 선교 역사가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그로부터 130년 가까이 지난 지금까지 한국 교회는 격동의 역사를 함께 겪으며 교육과 문화, 스포츠, 사회사업 등 한국의 근현대화에 많은 기여를 했다는 것이 일반적인 평가다.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NCCK)가 한국 교회의 발자취와 한국 사회에 대한 역할 등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한국 기독교사 100대 사건’(가제)을 2월중 출간한다고 27일 밝혔다.

관련기사



100대 사건은 시기에 따라 1919년 전과 후, 해방 후로 구분하고 교육·의료·종교·여성·문화·민족 등 6가지 주제로 나눴다. 이중에는 조선 최초의 근대식 병원이자 서양의학 도입의 상징인 제중원을 비롯한 각종 병원의 개원과 한국 유아교육의 시초인 이화·중앙유치원이 포함됐다.

이밖에도 저소득층 아동 복지 사업의 시초라고 할 수 있는 우유 급식 사업도 한국 기독교의 발자취로 꼽았고 결핵 퇴치에 큰 기여를 한 크리스마스 실의 시작도 100대 사건의 하나로 포함됐다고 NCCK측은 설명했다.


정승양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