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李대통령, 재계 투자확대 약속 공수표?

상반기 투자증가율 사실상 제로…7년만에 최악


이명박 대통령이 지난해 말 대통령에 당선된 후 끊임없이 재계에 투자확대를 주문해 호응을 얻어냈지만 실제 투자확대로는 연결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올 상반기 투자증가율이 사실상 ‘제로’를 기록했기 때문이다. 투자부진은 경기회복을 늦추고 열악한 고용사정을 더욱 악화시킬 뿐 아니라 성장잠재력까지 계속 깎아먹고 있다. 18일 한국은행 국민소득 통계에 따르면 설비ㆍ건설ㆍ무형 고정투자를 합한 총고정자본의 전년 동기 대비 실질증가율은 지난 상반기에 0.5%에 불과했다. 지난해 상반기 증가율이 6.2%였음을 감안할 때 올 상반기 투자증가율은 제로 수준으로 추락했다. 이는 지난 2001년의 -3.6% 이후 가장 낮다. 총고정자본 중 특히 설비투자는 올 상반기에 1.1% 증가하는 데 머물렀다. 지난해 11.0%와 비교하면 급격히 위축된 것. 건설투자는 지난해 상반기에 2.5% 늘었으나 올해 같은 기간에는 -0.9%로 돌아섰다. 그나마 컴퓨터 소프트웨어, 광물탐사 등으로 이뤄진 무형고정투자가 상반기에 7.4% 늘었다. 하지만 무형고정투자가 2000년 40.7%, 2002년 15.3%, 2005년 8.4% 등을 기록했음을 고려하면 둔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 같은 투자부진은 기업인들이 정부 행사에서 대통령과 만나 약속하는 말과는 달리 투자확대에 나서기가 여의치 않은 실정임을 보여주고 있다. 이 대통령은 지난해 12월28일 당선인 신분으로 전경련에서 처음 재계와 회동한 후 최근까지 청와대 등에서 수차례 그룹 총수와 경제단체장들을 만나 투자확대를 당부했다. 하지만 초고유가와 국제금융시장 불안, 경기둔화 등의 영향으로 기업들은 말처럼 쉽게 투자를 단행하지는 못했다. 향후 투자 전망도 밝지 않다. 통계청은 “설비투자의 선행지표인 국내기계수주 증가율이 올 2ㆍ4분기 8.5%로 지난해 21.1%와 올해 1ㆍ4분기 25.2%에 비해 크게 둔화됐다”고 전해 투자침체는 당분간 지속될 것임을 시사했다. 이부형 현대경제연구원 실물경제실장은 “경기전망이 어둡고 규제가 여전히 많아 투자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며 “정부가 민간투자의 물꼬를 터줄 유인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