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정부, 美 쇠고기 수입고시 강행

거리시위 더 거세질듯<br>민노총·한총련까지 반대집회 가세<br>일부 도넘은 행위엔 우려 목소리도

정부가 29일 미국산 쇠고기 새 수입조건을 담은 고시 발표를 강행하자 시민들의 반발이 더욱 거세지고 있다. 경기도 용인시 기흥의 한 냉동 창고 앞에서 미 쇠고기 수입을 반대하는 한 주부단체 회원들이 피켓을 든 채 정부의 고시 강행을 비판하고 있다. /류효진기자

정부, 美 쇠고기 수입고시 강행 거리시위 더 거세질듯서울광장 대규모 촛불집회 "고시 철회"한총련이어 야권도 반대투쟁 가세일부 도넘은 행위엔 우려 목소리도 최인철기자 michel@sed.co.kr 노희영기자 nevermind@sed.co.kr 정부가 29일 미국산 쇠고기 새 수입조건을 담은 고시 발표를 강행하자 시민들의 반발이 더욱 거세지고 있다. 경기도 용인시 기흥의 한 냉동 창고 앞에서 미 쇠고기 수입을 반대하는 한 주부단체 회원들이 피켓을 든 채 정부의 고시 강행을 비판하고 있다. /류효진기자 29일 정부가 미국산 쇠고기 수입고시 발표를 강행하자 시민들의 반발은 극에 달했다. 시청 앞 서울광장에는 2만여명(경찰 추산 9,000여명)의 시민들이 모여 '협상무효 고시 철회' '이명박 OUT' 등의 구호를 외치며 대규모 촛불집회를 연 뒤 거리를 행진했다. 경찰도 80여개 중대 7,000여명의 병력을 배치해 만일의 사태에 대비했다. 통합민주당 등 야권도 이날 일제히 '장외투쟁' 돌입 등 정부 여당에 대한 전면전을 선포해 정국 급랭의 소용돌이에 빠졌다. 한편 일부 시민들이 몇몇 언론매체에 광고한 기업 등을 대상으로 '불매운동'을 벌이겠다는 협박성 공격을 퍼붓는 등 사태의 본질을 왜곡시키는 행위도 늘어나 사회적 혼란이 가중될 것이라는 우려를 낳고 있다. ◇시민ㆍ노동계 반발 확산될 듯=전국 1,700여개 시민단체와 네티즌 모임으로 구성된 '광우병 위험 미국산 쇠고기 전면 수입을 반대하는 국민대책회의(이하 국민대책회의)'는 전면투쟁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고려대 등 촛불문화제에 합류하려는 대학들도 늘고 있다. 앞으로 줄줄이 다가올 시민들의 기념행사나 노동계 '하투'에서도 정부의 태도를 규탄하는 실력행사가 등장할 것으로 보인다. 지난 24일 청계천 촛불집회에 참석한 데 이어 이곳에서 무기한 항의농성을 벌이고 있는 민주노총은 미국산 쇠고기를 보관한 경기도 남부지역 냉동창고 주변에 22일부터 오는 6월17일까지 장기간 집회신고를 해놓은 상태에서 이날 현장에 집결, 출하저지 활동을 벌였다. 국민대책회의는 31일 국민을 무시한 이명박 정부를 규탄하는 범국민 대회와 범국민 촛불문화제를 각각 대학로와 시청 앞 서울광장에서 가질 예정이다. ◇도를 넘는 행위도 번져 우려=미국산 쇠고기 수입에 긍정적인 입장을 보이는 보수신문 1면 등에 광고를 낸 기업이 네티즌들의 공격을 받는 등 곤욕을 치르고 있다. 27~28일 몇몇 일간지에 광고를 게재한 D제약 홈페이지에는 '국민의 소리를 외면하는 제약회사는 필요없다. D제약 의약품 불매운동을 벌이겠다'는 등 수백건의 항의성 댓글이 올라와 있다. 이 회사의 한 관계자는 "광고가 나간 이틀간 항의전화를 많이 받았다"며 말을 아꼈다. 한우 관련 광고를 실었던 농협도 유사한 상황을 겪었다. 또 이날 오전 서울 관훈동 맥도날드 본사 앞에서는 환경운동연합 소속 30여명이 매장 일부를 차지한 채 '미친 소 수입반대'라는 플래카드를 걸고 퍼포먼스를 벌였다. 햄버거에 미국산 쇠고기를 쓰지 않는 맥도날드 측은 "코멘트할 게 없다"며 직접적인 언급을 자제했지만 당혹스러운 입장을 숨기지 못했다. 이에 따라 청계광장에서 촛불로 시작한 평화시위가 시간이 지나면서 도로점거에 이어 일반기업의 영업활동까지 방해하는 '반달리즘'으로 변질되며 이번 사태의 본질을 왜곡시킨다는 비난이 제기되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