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대기업­중기 교복전쟁 본격화/중소업계 조합통한 지정구매 요구에

◎대기업측 “자율구매” 명분 강력반발최근 교복시장을 놓고 중소업계와 대기업들 사이에 갈등이 증폭되고 있다. 13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중소업계는 현행 학생들의 교복자율구매방식으로는 중소기업의 설자리가 없어질 뿐 아니라 학생들 사이에도 위화감이 조성되고 있다며 조합을 통한 학교측의 지정구매를 요구하고 있다. 이에 반해 대기업은 관계기관에 진정서를 내는등 반발하고 있어 싸움이 본격화되고 있다. 중소업계는 (주)선경이 지난 93년 교복시장에 참여한 이후 작년 하복부터 제일모직과 제일합섬마저 뛰어들어 시장잠식을 가속화, 입지가 갈수록 좁아지며 부도업체가 속출하고 있다. 으뜸산업 박형규 사장(피복조합학생복위원장)은『중소기업이 개척해 놓은 시장에 대기업이 숟가락만 갖고 덤비는 것은 문제가 있다』며 『연간 3천4백­3천5백억원의 교복시장에서 대기업들이 하청생산으로 시장점유율을 현재 60%에서 내년말에는 80%까지 확대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박사장은 또 『극심한 판매난과 과당경쟁으로 지난 1­2년새 이미 교복업체 30%가 부도나고 나머지 상당수도 도산위기에 처해있다』며 『브랜드와 마케팅력이 강한 대기업에 대응해 1천2백여 중소교복메이커는 2­3년전부터INY(아이니) 신생등 공동브랜드로 대응해 왔으나 역부족인 실정』이라고 설명했다. 중소업계는 현재 학생들의 자율구매방식으로는 디자인이나 규격이 통일되지 않는데다 11­15만원 하는 중소기업제품에 비해 스마트 아이비클럽에리트 등 대기업브랜드는 15만­18만5천원에 달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피복조합은 최근 학교측이 피복조합을 통해 교복을 지정구매해 줄 것을 교육청과 학교측에 공식 요청, 서울 9개 중고교가 신학기 교복을 피복조합을 통해 지정구매하는 성과를 올리기도 했다. 그러나 대기업3사는 서울교육청에 학교측의 교복 지정구매는 과거 일부 업자들이 커미션을 주고 교복물량을 수주했던 부조리가 재현될 수 있고 교육부방침도 학생들의 교복자율구매가 원칙이라며 교육청에 진정서를 냈다. 교육부도 대기업 주장과 같이 학생들의 자율구매원칙을 지키도록 일선 학교에 시달하는 한편 피복조합 지정구매학교에 시정을 촉구했다.<고광본>

관련기사



고광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