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때 브릭스(BRICs)라는 말이 유행하더니 이제는 친디아(Chindia)라는 용어가 더 많이 입에 오르내리고 있다. 브라질ㆍ러시아ㆍ인도ㆍ중국 등 신흥 경제 4개국을 묶어 ‘브릭스’로 불렀지만 러시아와 브라질은 아무래도 함량(?)이 떨어지는 탓인지 중국과 인도만을 가리키는 ‘친디아’라는 용어가 득세하기 시작했다.
중국은 이미 우리의 최대 교역국이자 투자대상국으로 자리매김했다. 이제는 중국만으로는 부족한 듯 인도시장을 공략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하다. 한국과 인도는 오는 2007년 말까지 ‘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CEPA)’을 체결하기로 합의했다.
이공계 교육수준 미국보다 높아
중국은 그렇다 치고 인도는 어떻게 세계적인 스포트라이트를 받는 국가로 부상했을까. 그 해답은 ‘교육’과 ‘시장경제’에서 찾을 수 있다. 교육을 통해 전세계 누구에게도 뒤지지 않는 고급인력을 키우는 한편 사회주의 정책에서 벗어나 시장경제로 전환하면서 도약의 전기를 마련했다.
인도는 기초과학 및 이공계 교육에 관한 한 세계적인 수준을 자랑한다. 초등학생들이 19단까지 달달 외운다는 얘기는 인도 교육의 한 가지 편린에 불과하다. 초등학교 때부터 수학과 과학을 깊이 있게 배우다 보니 대학의 경쟁력도 세계적인 수준이다.
세계적인 정보기술(IT) 업체인 선마이크로시스템스를 공동설립한 비노드 코슬라는 인도공과대학(IIT) 출신이다. 그는 “IIT를 졸업한 후 미국의 카네기멜론 대학원으로 진학했는데 수업이 상대적으로 쉬워 너무 편했다”고 회고한 바 있다. 물론 영어를 모국어처럼 사용하기 때문에 인도인들이 다른 아시아 국가 출신 학생들보다는 훨씬 유리하다. 그러나 공학 분야에서는 수학ㆍ물리학ㆍ화학 등이 영어 못지않은 중요한 언어다. 과학ㆍ공학ㆍ의학 분야에서 인도인들이 세계적으로 뛰어난 역량을 발휘하는 것은 대학뿐 아니라 초ㆍ중ㆍ고등학교 과정에서 탄탄한 기초과학 실력을 쌓고 있기 때문이다.
교육 한 가지만으로 인도의 도약을 설명할 수는 없다. 교육은 필요 조건일 뿐이다. 지난 90년대 중반까지만 해도 IIT 졸업생이라도 택시를 모는 경우가 많았다. 인도가 사회주의 경제정책 기조를 유지함에 따라 기업을 세우려는 수요가 없었고 이러다 보니 일자리도 턱없이 부족했다. 우수한 이공계 인력이 택시를 모는 판이니 이들보다 학력이 떨어지는 사람들을 위한 일자리는 아예 없는 것이나 마찬가지였다.
인도가 90년대 들어 시장경제를 향해 과감한 개혁ㆍ개방정책을 추진하자 사정은 크게 달라졌다. 때마침 전세계적인 IT 투자 바람이 불면서 인도의 질주를 도왔다. 그 결과 인도의 방갈로르는 전세계적인 IT 연구개발 중심지로 떠올랐다.
인도와 비교해보면 우리의 교육은 부끄러운 수준이다. 고등학교에서 미ㆍ적분을 배우지 않고도 공대로 진학할 수 있다. 하지만 정부의 고위관계자들은 “중ㆍ고교 교육은 문제가 없지만 대학 교육이 문제”라며 대학에 화살을 돌린다. 그래서 정부의 이런 인식은 과거 군대에서 선임병이 후배 병사에게 500원짜리 동전 하나를 달랑 던져주고는 ‘소주 한병에 통닭 한마리, 쥐포 5마리’를 구해오라는 것과 마찬가지라는 얘기도 나온다.
시장경제 활성화로 일자리 늘려
초ㆍ중ㆍ고 및 대학 교육은 하나의 연장선 위에 놓여 있다. 중ㆍ고등학교 교육이 부실하면 자연스레 대학 교육의 부실로 이어진다. 대학이 아무리 애쓰더라도 질을 높이는 데는 한계가 있다. 교육의 질이 떨어지면 보다 높은 소득이 보장되는 일자리도 사라진다. 미국의 언론인 토머스 프리드먼의 말처럼 지금은 전세계인들이 좋은 일자리를 놓고 경쟁하는 세상이다.
경제정책도 마찬가지다. 고소득층에 대한 증세를 통해 저소득층을 지원하는 방식보다는 국내는 물론 외국기업의 투자 확대를 유도하는 게 보다 효과적인 소득 확대정책이다.
질 높은 교육을 통해 우수한 인력을 공급하되 기업의 적극적인 투자를 유도하면 고급인력에 대한 수요도 늘어난다. 이렇게 되면 저소득층은 중산층으로, 중산층은 고속득층으로 올라갈 수 있는 기제가 만들어진다. 그 효과는 이미 인도에서 입증됐다. 문제는 실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