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무역 1조弗 달성에 가장 많이 기여한 인물은

무역협회, 무역 1조 달러 시대 국민인식조사


우리나라가 사상 처음 무역 1조 달러를 달성하는데 가장 많이 기여한 인물로 국민들은 박정희 전 대통령과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을 꼽은 것으로 조사됐다. 6일 한국무역협회가 ㈜리서치앤리서치에 의뢰해 전국 성인남녀 1,500명을 상대로 진행한 국민인식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46.4%가 무역 1조 달러 달성에 가장 많이 이바지한 대통령으로 박정희 전 대통령을 택했다. 이어 이명박 대통령(13.5%), 김대중 전 대통령(10.2%), 노무현 전 대통령(8.7%) 순이었다. 경제인으로는 이건희 회장(34.0%)을 꼽은 응답자가 가장 많았고, 정주영 현대그룹 명예회장(32.7%), 삼성그룹 창업주인 이병철 선대 회장(16.0%), 정몽구 현대자동차그룹 회장(4.8%) 등이 그 뒤를 이었다. 하지만 개인이 아닌 집단 차원의 기여도 평가에서는 근로자(45.0%)가 기업인(41.3%)을 다소 앞섰으며 정부(7.2%)는 가장 낮게 평가됐다. 또 무역의 국민경제 기여도에 대해선 향후 현재 수준 또는 이보다 더 크게 기여할 것이란 의견(73.9%)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한국 무역의 전망과 대해서는 세계 9위(2010년 말)인 무역규모 순위가 10년 후 5위 이내로 상승할 것이라는 응답이 24.5%, 6∼8위 수준에 이를 것이라는 응답은 36.5%로 조사되는 등 현재보다 순위가 상승할 것이란 긍정적 전망이 지배적이었다. 앞으로 10년간 우리 무역에 영향을 미칠 이슈로는 중국 등 신흥시장의 성장(19.2%)과 스마트폰과 같은 기술혁명(15.3%)이 당분간 계속 반영될 것으로 조사됐다. 또 향후 10년간 수출을 주도할 분야로는 정보기술(IT) 산업(58.4%)이 절반 이상을 차지했으며 신재생에너지 등 그린산업(14.8%)이 뒤를 이었다. 무역 확대를 위해 우리가 중시해야 할 시장으로는 중국(47.8%), 인도와 브라질을 포함한 BRICs(13.0%), 아세안(9.6%) 등 신흥시장이 EU(12.0%)나 미국(10.6%)에 비해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한편 우리 무역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 정부가 지원해야 할 정책분야로는 수출중소기업의 발굴과 육성(38.3%), 서비스 등 새로운 수출분야 육성(22.0%), 수출상품의 품질과 이미지 개선(17.0%) 등이 꼽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