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꼬이는 성동조선 정상화

자금지원 핵심역할 국민銀<br>추가 투입에 부정적 입장<br>최종 합의까진 험난할 듯

늦어도 이달 말부터는 자금지원이 이뤄져야 원활한 기업개선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성동조선해양의 정상화가 꼬이고 있다. 자금지원의 핵심 역할을 담당해야 할 국민은행이 추가 지원에 부정적 입장을 고수하고 있기 때문이다. 자금지원에 동의하는 채권단만으로 정상화 절차를 밟을 가능성도 있지만 일부 채권단이 불참하면 여타 채권단도 자금지원 여부에 대해 자체 결의를 해야 하는 부담이 있어 최종 합의까지는 가시밭길이 예상된다. 9일 금융계에 따르면 성동조선 채권단은 지난 8일 금감원에서 수출입은행ㆍ우리은행ㆍ농협ㆍ무역보험공사는 물론 추가자금지원에 난색을 표하고 있는 국민은행까지 참석한 가운데 향후 성동조선의 지원과 관련된 의견을 나눴다. 채권단은 딜로이트안진 회계법인의 성동조선 실사보고서를 거론하며 국민은행을 압박했지만 채권단 전체의 의견 일치는 실패했다. 딜로이트안진의 보고서는 성동조선에 추가자금을 투입해 정상화하면 회수할 수 있는 금액이 약 1조9,000억원에 달해 청산가치인 1조3,000억원을 크게 웃돈다. 이는 존속가치(2,200억원)가 청산가치(1조4,700억원)를 크게 밑도는 삼정KPMG의 보고서와는 정반대다. 국민은행은 삼정KPMG의 보고서를 거론하면서 여타 채권단을 반박한 것으로 전해졌다. 국민은행은 더구나 보유하고 있는 채권이 대출이 아닌 환헤지 파생상품(키코)을 팔았다가 떠안게 된 채권이다. 성동조선이 정상화되더라도 가치가 크게 올라가지 않기 때문에 굳이 자금지원에 동참할 수 없다는 의견을 고수한 것으로 전해졌다. 상황이 이렇자 여타 채권단은 주말께 자체적으로 회의를 연 뒤 국민은행을 뺀 채 성동조선에 대한 자금지원 여부를 최종 결정할 예정이다. 다만 지원 결정까지는 쉽지 않다는 전망도 있다. 채권단의 한 고위 관계자는 "모든 채권단이 지원에 나서면 나중 결과가 어떻게 되더라도 서로가 갖는 부담은 감소한다"면서 "하지만 회생가능성이 낮다면서 한 곳이 빠진 상황에서 지원결단을 내리기가 쉽지는 않다"고 말했다. 혹여 최악의 경우 책임을 떠안아야 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래도 채권단 내부에서는 아직까지는 지원가능성이 더 높다고 보고 있다. 다른 채권단의 한 관계자는 "지원 쪽으로 가지 않겠느냐"며 "국민은행을 제외하고도 여타 채권단의 채권비율이 75%를 넘어서기 때문에 지원자체의 장벽은 없다"고 설명했다. 주채권은행인 수출입은행의 채권 비율이 47.40%에 이르고 무역보험공사(18.80%), 우리은행(15.69%) 등이 갖고 있고 이들은 정상화 방안에 동의하고 있다. 만약 다음주 중 지원방안이 확정되면 채권단은 이달 말까지 3,000억원을 채권비율대로 나눠 성동조선해양에 지원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