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간 총리 "대지진, 경제체질 개선 기회"

"단순 재건 넘어 무역 자유화·농업개혁 등 추진" 강조


간 나오토(菅直人ㆍ사진) 일본 총리는 지난 3월 일본을 뒤흔든 대지진이 "20년간 교착상태에 빠진 일본 경제의 구조적 위기를 해소할 기회"가 될 것이라며, 일본이 지진 피해복구 뿐 아니라 그 동안 미뤄 왔던 경제의 구조적 문제 해결과 무역자유화, 농업개혁 등을 함께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간 총리는 지난 3월11일 발생한 동북부 대지진 이후 처음으로 가진 파이낸셜타임스(FT)와의 인터뷰에서 이 같이 밝혔다. 직접 피해지역인 동북부 지역에 대해서도 단순한 재건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태양광과 풍력에너지 등 천연에너지의 생산을 이끄는 모델"로 삼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후쿠시미 원전 사태로 인한 여름철 전력부족 역시 에너지 절감을 위한 체질을 갖추는 기회로 풀이했다. 그는 "(이번 기회에) 풍요로움을 이해하면서도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사회를 만들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번 인터뷰는 간 총리가 오는 26일(현지시간) 개막하는 주요 8개국(G8) 정상회담 참석차 출국하기 직전에 이뤄진 것이다. 일본 요미우리신문에 따르면 간 총리는 26~27일 프랑스에서 열리는 이번 G8 회의에서 원전 축소ㆍ 재생에너지 발전 등을 주축으로 하는 일본의 새 에너지 정책을 발표할 예정이다. '선라이즈 계획'으로 알려진 일본의 새 에너지 정책은 태양광발전을 보급시키기 위해 태양광 패널 설치비용을 2020년까지 현재의 3분의 1, 2030년까지는 6분의 1로 줄이는 기술 개발에 착수하는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고 신문은 전했다. 다만 간 총리는 후쿠시마 원전 사태 대응에서 보인 정부의 늑장이나 재해지역 이재민에 대한 지원 지연 지적에 대해서는 방어적인 입장을 보였다고 FT는 전했다. 그는 또 일본 언론들이 정치 지도자들에게서 지나치게 빨리 등을 돌린다고 지적하고, 일본도 지도자들이 제대로 역량을 발휘하도록 적어도 3~4년을 기다려주는 다른 민주국가들의 사례를 따라야 한다며 일본 정계에서 제기되는 총리 퇴진론에 대한 불만을 표출했다.

관련기사



신경립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