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이지송 현대건설사장 사의 배경은

매각 앞둔 정지작업 관측<br>채권단협의회 17일 후임자 인선위한 회의 가져

이지송 현대건설 사장의 사의 표명과 관련, 건설업계 안팎에서는 다소 의아하다는 반응이다. 하반기로 예정된 매각작업을 앞둔 마당에 현대건설 경영을 정상화시키고 내부 사정을 누구보다 잘 파악하고 있는 이 사장이 물러나는 이유가 무엇이냐는 것. 게다가 이 사장 자신도 오는 3월 임기를 앞두고 그동안의 실적 등을 내세우며 ‘재신임’을 장담했던 터였다. 실제 이 사장은 지난 2003년 3월 당시 좌초하던 현대건설에 들어와 3년간 경영 정상화는 물론 숙원과제였던 이라크 미수금 처리, 해외부실 정리, 서산간척지 개발(태안기업도시) 등을 완벽하게 수행해왔다. 부임 첫해인 2003년 3,016억원의 영업이익과 792억원의 당기순이익을 올려 흑자기조를 정착시킨 데 이어 2004년 1,714억원의 순이익을 기록하고 지난해에는 3,238억원의 순이익을 올려 사상 최대 규모의 흑자를 기록했다. 그러나 현대건설 채권단협의회가 최근 소속 기관에 재신임 의사를 묻는 문서를 돌려 ‘재신임 불가’ 방침을 세웠고 이를 통보받은 이 사장이 스스로 물러나는 모양새를 갖췄다는 게 업계 관계자들의 전언이다. 이에 대해 업계 일각에서는 채권단이 매각을 앞두고 현대건설의 내부 인물을 물갈이하려는 의도이거나 현대건설 채권단의 한 소속 기관이 자사가 원하는 인물을 CEO로 앉히기 위해 작업한 것이라는 소문이 돌고 있다. 업계에서는 그동안 채권단협의회 기관 중 이 사장 퇴진을 주장해온 산업은행과 현대증권을 포함, 4개 기관이 사장 교체를 통보했고 외환은행도 당초 연임의사를 철회했다고 알려졌다. 채권단 소속 기관의 한 관계자는 “기업의 M&A는 기존 인물이 아닌 새 CEO가 와서 하는 것이 원칙”이라며 “현대건설도 이 같은 맥락에서 사장을 바꾸는 것”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기관 관계자는 “매각이 언제 될지도 모르는데 굳이 임기 만료된 사장을 연임시킬 필요가 있냐”고 되물었다. 실제 채권단협의회는 17일 이 사장 퇴진에 따른 후임자 인선을 위한 회의를 진행했다. 일각에서는 일부 채권기관이 특정 인물을 이미 사장 내정자로 확정해놓고 작업을 한 것이 아니냐라는 지적도 제기하고 있다. 업계에서는 부산상고 출신의 한 인사가 후임자로 내정됐다는 소문도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