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금 모이기’ 저력 이젠 ‘고철’로

“`금 모으기 운동`의 저력으로 `고철 모으기`에 나섭시다.” 국제적인 철강파동으로 국내 철근 수급에 비상이 걸린 가운데 정부가 `고철모으기 운동` 전개하자 각 지방자치단체와 민간단체들이 이에 적극 동참하고 나섰다. 4일 행정자치부와 각 지자체에 따르면 지자체들은 수거 목표를 정하고 지원예산을 배정하는가 하면 실적이 우수한 공무원이나 단체에는 인센티브를 주는 등 고철모으기를 독려하고 있다. 한편 철근 등 원자재를 구하기 힘들게 되자 곳곳에서 건설공사 등에 차질이 빚어지고 있으며 고철 값이 급등, 이를 도난 당하는 사례도 크게 늘고 있다. ◇`고철 모으기` 전국 확산=지난 3일 행자부는 3월 한 달을 고철 수집기간으로 정하고 국민들이 버려진 가전제품과 주방용기, 농기구, 건축자재, 캔류 등을 수거해 재생 공사 등에 보낼 수 있도록 각 자치단체를 적극 독려키로 했다. 특히 행자부는 자치단체별 고철 모으기 실적을 반영, 우수단체에는 표창 등 인센티브를 줄 방침이다. 자치단체들도 이 운동에 적극 동참하는 분위기다. 경북도는 오는 4월까지 새마을회, 자연보호협의회 등과 합동으로 `1인 1㎏이상 고철모으기 운동`을 펼치고 있다. 광주시도 5일부터 이달 말까지 고철모으기 운동을 벌이기로 하고 상공회의소, 교육청, 새마을회, 바르게살기운동협의회, 자연보호협의회 등에 동참을 요청했다. 전남도 역시 3월 한달을 고철 수집기간으로 정했다. 대전시는 이달부터 매주 토요일을 `고철 수거의 날`로 지정하는 한편 4월부터는 1일과 15일을 중점 수거의 날로 운영해 고철을 모으기로 했으며, 충북도도 오는 20일까지 가구당 평균 5㎏씩 모두 2,500톤의 고철을 수집할 계획이다. 경기도는 매주 토요일을 `고철 수거의 날`로 설정해 각 가정과 마을, 업체 등에서 고철을 수집한 뒤 자원재생공사에 연락하면 이를 매입하도록 했다. ◇철근부족 곳곳서 피해=울산시의 경우 지난해 11월부터 조달청의 철근 구매공급이 중단되면서 종합운동장 건립과 산업도로 건설 및 확장 등의 관급공사가 중단됐거나 중단위기를 맞고 있다. 대구지역 주물업체들도 지난해 11월 kg당 200원 하던 선철이 현재 360원선, 고철은 ㎏당 150원에서 300원까지 오른데다 이마저도 물량을 구할 수 없어 조업을 제대로 하지 못하고 있다. 고철류 도난사고도 잇따라 지난 1일 원주시 문막읍 모 공업사에서 H빔 20개를 훔치는 등 화물차를 이용해 원주지역 공업사와 신축 공사장 등에서 철근 387개를 훔친 황모(43ㆍ원주시)씨 등 2명이 최근 경찰에 붙잡혔다. <최석영기자 sychoi@sed.co.kr>

관련기사



최석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