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정치일반

中 충칭 소재 임시정부 청사 13일 재개관

보훈처 “쓰촨성 대지진 후 1억 7,900만원 투입 개보수”

일제 강점기 하 독립 운동 전초기지였던 충칭의 대한민국 임시정부 청사가 13일 중국 현지에서 재개관식을 갖는다. 국가보훈처는 11일 “지난 2008년 쓰촨성 대지진 이듬해 청사 건물 안전진단 결과 노후가 심각한 것으로 드러나 1억 7,900만원을 투입해 개보수 작업이 진행됐다”며 이 같이 밝혔다. 중국 충칭시 유중구 칠성가 연화지 38호에 있는 임정 청사는 1945년 1월부터 11월까지 김구 주석 등 임시정부 요인이 광복을 맞아 환국할 때까지 마지막으로 사용한 청사다. 회색 벽돌과 지붕을 기와로 얹은 이 건물은 상하이 임정청사의 12배에 달하는 규모로, 김구와 장제스의 회담 자료, 독립신문, 광복군 자료 등이 5개 동에 나뉘어 전시돼 있다. 재개관 기념식에는 독립유공자 후손과 현지 교민, 주 청두 총영사관 관계자 등 150여 명이 참석한다. 앞서 1919년 조직된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상하이(上海)에 청사를 두고 활동했으나, 윤봉길 의사 의거 직후 일제의 탄압을 피해 1940년 충칭으로 청사를 옮겼다. 임정이 1945년 8ㆍ15광복과 함께 27년간의 활동을 마치고 환국한 뒤, 임정청사는 충칭시의 도시개발계획으로 한 때 사라질 위기에 처했으나 국내 대기업과 정부가 힘을 모아 복원작업을 시작해 1995년 일반에게 공개됐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