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한나라 통일세 ‘조심’

국민적 합의 있어야

이명박 대통령의 ‘통일세 화두’에 대해 한나라당 지도부 일각은 조심스럽게 접근해야 한다는 반응을 보였다. 친서민 기조에서 튀어나온 통일세 신설이 자칫 격한 반발을 부르지 않을까 저어하는 모습이다.


김무성 원내대표는 16일 오전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언젠가는 이룩할 통일 준비의 일환으로 통일세를 검토할 기회가 될 것”이라며 “정부방안이 구체적으로 나오면 야당과 논의할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그러나 홍준표 최고위원은 “통일세 문제는 남북협력기금이 지금 많이 있다”면서 “평화공동체가 정착된 후에 본격적으로 논의해도 늦지 않다”며 속도조절론을 폈고, 서병수 최고위원은 “통일세 문제는 실무적으로 접근할 때 아주 신중을 기해주길 부탁한다”고 강조했다. 서 최고위원은 “통일세도 세금이고 통일세의 성격 자체가 훗날을 대비해 현재 세대가 부담하는 문제여서 사회적으로 국민 합의를 얻기 어려운 상황이 있다”면서 “또한 북한이라는 상대가 있다는 것을 항상 염두하고 신중하게 접근해 달라”고 덧붙였다.

고흥길 정책위의장은 “통일세는 어제 경축사 현장에서 처음 들었다”면서 “대통령이 국정 연설할 때는 청와대나 정부가 사전에 당에 (연설에)어떤 내용이 들어갔으면 좋겠느냐는 논의라도 오고 가야 하는 데 그런 논의 없이 불쑥 나와 다소 유감”이라고 꼬집었다. 다만 고 의장은 “이왕 제시한 문제이니만큼 정책위 차원에서 테스크 포스를 구성하거나 공청회를 열어서 뒷받침하는 작업을 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