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부동산일반

'9.10대책' 한달…집값 하락 진정세

발표 전보다 낙폭 절반…재건축 하락은 '일단 멈춤'

9.10 부동산 대책 발표 한달만에 전국의 집값 하락폭이 절반으로 줄어드는 등 추락세가 다소 진정 기미를 보이고 있다.


특히 가장 침체의 골이 깊던 서울 재건축 아파트는 오랜만에 반짝 수요가 따라붙으면서 약보합세로 돌아섰다.

14일 부동산114가 9.10대책 발표 전후의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 변동률을 비교한 결과 이전 한 달(8월10일~9월7일)에는 -0.27%, 이후 한 달(9월7일~10월12일)에는 -0.13%로 각각 집계됐다.

서울 아파트값도 발표 직전 한 달 동안 0.52% 하락했다가 이후 한 달 동안에는 0.26% 떨어져 낙폭이 정확히 절반으로 감소했다.

구별로는 9.10대책 이전 한 달 사이 1.02% 급락했던 송파구가 발표 이후에는 단 0.08% 하락하는 데 그쳐 가장 큰 폭의 반전을 보였다.


강남구(-0.96%→-0.40%), 서초구(-0.45%→-0.28%), 강동구(-1.13%→-0.43%), 양천구(-0.49%→-0.12%) 등 강남권과 목동의 아파트 시장이 대체로 취득세와 양도세 감면 혜택의 효과를 톡톡히 누린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기사



1·2기 신도시는 9.10대책이 나오고 아파트값 하락률이 종전 0.28%에서 0.12%로, 기타 수도권은 0.21%에서 0.09%로 각각 줄어 서울보다 더 '약발'이 잘 들었다.

신도시별 하락률은 분당이 0.36%에서 0.16%로, 판교가 0.45%에서 0.18%, 김포한강신도시가 0.50%에서 0%로 각각 감소했다.

반면 9.10대책 이전 한 달 동안 0.03% 소폭 상승하며 비교적 호황을 누렸던 지방 아파트 가격은 대책 이후 가격변동이 없어 오히려 한풀 꺾인 모습이다.

정부의 세금 감면 효과가 가장 큰 수혜 대상은 재건축 아파트다.

9.10대책이 나오기 전 1.28% 급락했던 서울 재건축 아파트는 대책 발표 후 단 0.08% 감소해 서울 일반 아파트(-0.41%→-0.29%)와 처지가 바뀌었다.

특히 송파구 재건축은 1.75% 떨어졌다가 1.04% 상승해 가장 큰 폭의 반전을 이뤄냈다. 강남구(-1.80%→-0.22%), 강동구(-1.83%→-0.65%), 서초구(-0.50%→-0.26%)도 최악의 침체에서 벗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강남구 개포동 일대 중개업소들에 따르면 개포주공 1단지 49㎡는 6억7,000만원까지 떨어졌다가 지난 12일 7억원에 거래됐다.

강동구 둔촌주공1단지 88㎡도 6억8,000만원에서 최근 들어 실거래가는 7억1,000만원, 호가는 7억2,000만원까지 각각 올랐다. 온라인뉴스부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