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새로 쓰는 경제백서] <11> 쌀

생산량 50년새 2배 늘어도 농촌 시름 여전<br>쌀값 하락등 영향 소득 감소… 도농간 격차 갈수록 벌어져


'피땀 흘려 생산해도 소득은 감소…. 농촌에는 시름만 쌓여간다.' 50년전 서울경제신문 경제백서 '쌀'편의 내용이다. 경지면적과 생산은 해마다 소폭 증가했음에도 지난 1956년부터 3년간 쌀값 하락률이 17.5%에 달한 이유는 외국 원조미의 존재. 쌀 자급률이 86%인 상황에서 물가당국은 결정적인 시기마다 원조미를 방출해 쌀값을 하향안정시켰다.

관련기사



그래도 당시가 지금보다 상대적으로는 나았다. 농촌소득이 도시보다 30%가량 높았으니까. 농가 소득이 떨어지기 시작한 것은 경제개발 이후부터. 수출경쟁력 확보를 위한 저임금ㆍ저미가 정책 때문이다. 그나마 1970년대 중반 이후 한동안 도시가구 평균을 웃돌았던 농촌소득은 1983년 118(도시가구 100)로 정점을 찍은 후 하락 일로를 걸으며 지난해에는 66%수준까지 떨어졌다. 쌀 생산이 50년 전보다 1.9배가량 늘어났어도 가격 하락과 쌀소비 격감, 해외의무도입량(MMA)에 따른 소득 감소는 구조적으로 변한 게 없다.

대책은 없을까. 지난 2004년부터 10년간 농촌 지원예산 규모가 123조원. 그 이전 10년 동안은 71조원의 세금이 투입됐음에도 농촌의 주름살은 여전하다. 중간단계를 생략하고 농민에게 직접 나눠주는 편이 나았을 것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다. 정책당국 역시 이전보다 더 골머리를 앓고 있다. 농정 자체가 복잡해진데다 시장 개방에서 남아도는 쌀의 대북지원까지 정치권의 결정에 뒤따라야 하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