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이 와중에 G20은 파열음만…

미국, 중·일에 통화절하 경쟁 경고<br>아시아선 엔저정책 불만 고조

글로벌 경기둔화 우려가 또다시 고조되고 있는데도 주요20개국(G20)은 공조는커녕 각국의 양적완화 정책이나 위기극복의 주도권을 놓고 파열음만 내고 있다.

우선 미국은 중국과 일본에 대해 인위적인 통화가치 경쟁에 나서지 말라고 경고했다. 신흥국으로부터 글로벌 양적완화 경쟁을 촉발해 신흥국의 자산버블, 핫머니 유입 등의 부작용을 불렀다는 비판을 듣는 미국이 오히려 역공을 가한 셈이다.

제이컵 루 미 재무장관은 17일 워싱턴 존스홉킨스대에서 연설을 통해 "환율 평가절하를 통해 이웃나라를 거지(beggar thy neighbor)로 만드는 정책을 펴지 말라고 G20 회원국들을 계속 압박할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그는 중국을 지목해 "최근 중국 당국이 외환시장에 개입하는 정도가 높아지고 있고 위안화 변동폭도 줄어들고 있다"고 경고했다. 일본에 대해서는 "통화정책의 초점을 환율에 맞추고 있는지 면밀히 주시하고 있다"며 경계의 끈을 늦추지 않았다. 18~19일 열리는 G20 재무장관회의를 하루 앞두고 지난 12일 재무부가 발간한 반기 환율보고서에서 중국과 일본의 환율에 대해 경고한 것을 재확인한 것이다.

관련기사



루 장관은 나아가 "유럽 위기극복을 위해 북유럽의 부유한 국가들이 지역 내 수요를 살리는 재정ㆍ화폐정책을 시행해야 한다"고 말해 독일이 유로존에 긴축정책을 강요하는 데 대한 불만을 나타냈다.

하지만 미국의 이 같은 환율 발언에 대해 중국 등 신흥국이 적반하장이라고 받아 칠 게 뻔한 상황이다. 웨인 스원 호주 재무장관도 18일 월스트리트저널(WSJ)에 "선진국의 성장촉진은 물론 필요하지만 그로 인해 아시아가 압박을 받고 있다"며 "마냥 감내할 수는 없다"고 말해 G20회의에서의 충돌을 예고했다. 브라질 정부 관계자 또한 "(G20회의에서 이 문제를) 모두 이야기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일본의 공격적 엔저정책에 대해 한국ㆍ중국 등 아시아 국가의 불만이 고조되는 상황이다. 현오석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7일 G20회의에서 일본의 양적완화 조치와 이에 따른 엔화절하 문제를 논의하겠다고 말했다.

물론 '환율전쟁은 공멸'이라는 공감대도 형성돼 있어 이번 G20회의에서 특정 국가에 대한 지나친 공격은 자제할 것으로 전망된다. 18일 아사히신문은 이번 회의 공동성명 초안에 '통화가치 하락 경쟁을 자제하고 환율을 정책목표로 삼지 말아야 한다'는 내용이 들어가 있지만 일본을 직접 거명하지는 않았다고 보도했다. WSJ도 "많은 국가들이 일본보다 먼저 양적완화를 시행해왔고 세계경제가 침체를 겪고 있어 공동성명이 일본을 너무 밀어붙이지는 않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태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