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전교조 출신 교장 탄생 두고 갈등

교총 “심사 불공정…추천 철회”<br>교육청 “절차적 하자 없다”<br>교과부 위반 사실 여부 실사 들어가

서울에서 처음으로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소속 평교사 출신 학교장 2명이 선출된 것과 관련해 서울시교육청과 한국교원단체총엽합회의 갈등이 심화되고 있다. 14일 서울시교육청에 따르면 평교사도 지원 가능한 내부형 교장 공모제를 실시한 노원구 상원초와 구로구 영림중에서 각각 전교조 조합원 신분인 평교사가 공모심사위평가와 면접 등을 거쳐 교장 최종 후보자에 선정된 것으로 확인됐다. 상원초에서는 전교조 정책실장을 지낸 교사가 교총 소속 후보를 누르고 교장 최종 후보자로 선정됐고, 영림중은 학교 교장공모심사위를 거친 1∼3위 후보 전원이 전교조 소속 평교사로, 자연스레 전교조 소속 교사가 최종 후보자로 결정됐다. 이에 교총은 “심사위 구성을 비롯해 심사 과정 전반이 불공정했다”며 “내부형 교장공모제가 특정 교원노조를 염두에 둔 교육감 코드 맞추기식 제도로 악용됐다”고 반발했다. 이와 함께 14일 교육청 앞에서 '불공정 심사 규탄 및 철회촉구 집회'를 열고 "특정 교원노조 응모자를 내부형 공모교장으로 최종 확정하려는 방침을 철회하라"고 주장했다. 한편 교과부도 교장공모제 실사에 들어가 법령 위반 사례가 드러날 경우 내부형 교장공모제 학교지정을 취소한다는 방침이다. 교과부 관계자는 "교장 임명 전 법령 위반 등 민원 내용이나 언론 보도에서 제기된 문제점이 사실로 드러나면 재공모를 하거나 내부형 교장공모제 학교 지정을 취소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교과부는 이번 주말까지 실사를 진행하되 필요할 경우 한차례 연장할 수도 있다는 입장이다. 이에 대해 서울시교육청은 "절차적 하자가 없기 때문에 교장 최종후보자 선정을 계속 추진할 것"이라며 "교과부가 교장임명을 안할 경우 다시 교장 공모를 하기에는 시간이 부족하기 때문에 기존 교장 순위 명부에 따라 임명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