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G7 "긴급 유동성 공급" 성명, ECB도 伊·스페인 국채 매입

■ 금융위기 진화 '글로벌 공조' 본격화<br>"유로존 위기 확산" 비관론 등으로<br>시장불안 여전… 효과는 지켜봐야

선진7개국(G7)이 전세계적인 금융위기를 진화하기 위해 유동성을 공급하겠다고 선언하는 등 글로벌 공조에 본격적으로 나섰다. 유럽중앙은행(ECB)도 잇달아 긴급회의를 열어 이탈리아 국채 매입을 포함한 금융시장 안정 방안을 내놓았다. 하지만 이 같은 공조에도 불구하고 시장의 불안감은 좀처럼 가시지 않고 있다. 유로존의 위기가 전염될 것이라는 비관론이 확산되고 있으며 각국 정부가 부양에 투입할 만한 실탄이 부족하다는 인식이 자리잡고 있기 때문이다. ◇긴급유동성 공급에 나선 G7=G7의 공조는 일단 미국의 신용등급 강등으로 촉발된 글로벌 증시 폭락과 시장심리의 패닉 상황을 신용경색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차단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 G7 재무장관 및 중앙은행 총재들은 8일 긴급 회의를 열어 "필요한 곳에 조율된 행동을 취하고 유동성을 보장할 것"이라며 "금융시장의 기능과 금융 안정, 경제 성장을 지원하기로 결의했다"고 성명서를 발표했다. 성명서는 "외환시장 움직임과 관련해 면밀히 주시하면서 적절하게 협조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G7은 미국의 신용등급 강등보다 유럽 재정위기 확산에 더욱 주목하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성명서에서 이탈리아와 스페인 국채가 구체적으로 지목되지 않았지만 시사하는 바는 분명하다"며 "그리스의 부채위기가 경제규모가 더 큰 국가까지 확산되는 것을 막겠다는 것"이라고 해석했다. ◇소방수로 나선 ECB=ECB도 G7과의 공조강화에 나섰다. 이탈리아와 스페인의 국채를 매입하는 등 글로벌 금융시장의 혼란을 막기 위해 적극적으로 행동할 방침이다. ECB는 이날 긴급회의 직후 "국채 매입 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시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정확하게 이탈리아와 스페인을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최근 위기가 확산되고 있는 이들 국가에 대한 국채 매입에 적극 나서겠다고 시사한 것이다. 장클로드 트리셰 ECB총재는 "채권시장프로그램을 시행할 준비가 돼 있다"며 "ECB의 국채 매입 프로그램은 더 나은 통화정책이 시행되는 것을 돕고 이를 통해 유로존 시장 안정을 이끌어내기 위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WSJ는 "유로존 '최후의 안전판'인 ECB가 소방수를 자처한 것은 유로라는 단일 통화 체제인 유로존의 본질을 바꿀 수 있는 결정"이라며 "이번 결정이 유로존 재정위기 극복의 '분수령'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공조효과는 지켜봐야=니콜라 사르코지 프랑스 대통령과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도 전화회담을 갖고 공동성명을 통해 그리스 지원합의에 대한 유럽연합(EU) 회원국의 전면 이행을 강조했다. 하지만 유로존 내 최강대국인 프랑스와 독일은 미묘한 입장차이를 보이고 있다. 프랑스 은행이 이탈리아 채권을 다량 보유하고 있는데 이탈리아와 스페인에 재정위기가 닥치면 프랑스 역시 유로존 내 최강대국의 위치가 흔들릴 수밖에 없다. 반면 유럽 최대 경제대국인 독일은 유로존 내 위기가 확산되더라도 탄탄한 중소기업이 지탱하는 경제 자체가 당장 큰 타격을 입을 가능성이 크지 않다. 오히려 지나치게 돈을 풀면 인플레이션을 자극하는 것이 문제라는 지적마저 나온다. 독일 주간지 슈피겔은 "유로존 위기 국가의 부채를 독일ㆍ프랑스ㆍ영국 등이 떠안는 방식의 해결책을 예상할 수 있겠지만 독일은 아무런 조건 없이 지원하는 방식은 취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미국과 유럽 각국이 심각한 재정위기를 겪고 있는 상황에서 글로벌 공조를 위해 추가로 투입할 실탄이 부족하다는 점도 시장의 불안을 키우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