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내칼럼

[기자의 눈] 차기 금융지주 회장들의 과제

"차기 회장자리야 누가 되든 힘 있는 사람끼리 다투는 거죠. 누가 되든지 간에 회사야 굴러가겠죠" 한 금융회사 간부가 최근 기자와 차담을 나누며 던진 한탄이다. 대형 금융그룹의 차기 회장 선정 과정이 기득권층의 파워게임으로 비춰지는 데 대한 쓴소리였다. 우리금융지주에서는 유력 차기 회장후보로 꼽히는 이팔성 회장과 김우석 전 한국자산관리공사 사장이 각각 이명박 대통령의 고려대 동문, 이재오 특임장관의 경북 영양고등학교 후배로 알려져 있다. 신한금융지주은 유력한 차기 회장 후보인 한택수 국제금융센터 이사회 의장과 한동우 전 신한카드 부회장 등을 둘러싸고 각각 신상훈 전 사장 측과 라응찬 전 회장 측이 대리전을 벌이는 양상이다. 주요 금융기관의 최고경영자(CEO) 인선이 이처럼 힘있는 인사의 겨루기 장으로 비화하다 보니 CEO가 바뀔 때마다 경영리스크가 부각되는 악순환이 반복된다. 때문에 능력 있는 CEO가 자신의 경영비전을 마무리 짓기 위해 연임하려고 해도 금융시장에서 환영받기보다는 '노욕'이라는 압력에 직면하거나 관치 개입을 초래하기도 한다. 이 모든 것은 경영후계자 승계과정의 투명성이 부족해 사회적 신뢰를 얻지 못한 탓이다. 주요 금융그룹은 중장기적이고 체계적인 경영후계자 양성프로그램을 갖추지 못한 채 기존 경영자나 이사회 친분이나 정치적 지형에 따라 주먹구구식으로 차기 CEO를 정해 왔다. 주요 금융그룹의 차기 CEO가 누가 되더라도 가장 우선적으로 해야 할 일은 체계적인 경영승계 프로그램을 세우는 것이다. 그렇지 않고 단기적인 경영실적에 연연하거나 조직개편만을 단행한다면 실제 의도와 관계없이 "벌써부터 연임을 노리고 실적 관리한다"거나 "노욕을 부리려고 자기 사람을 심는다"는 비판에 직면하게 될 것이다. 공 들여 육성한 경영후계자가 뜻밖의 비리 의혹으로 물러나는 일이 없도록 사전적인 내부통제 장치를 강화하는 것도 중요하다. 그런 점에서 '금융권의 삼성'이 되기보다는 '금융권의 제너럴 일렉트릭'이 되기를 바란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