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산은, 대우증권 인수는 편의적 발상"

산업은행이 대우증권을 새 자회사로 거느리게 됐다.우여곡절끝에 새주인이 된 산업은행이 과연 대우증권을 어떻게 운영해나갈지는 지켜볼 일이지만 우려하는 시각이 만만치 않다. 더욱이 국책은행의 구조조정 밑그림이 불확실한 마당에 결과적으로 산업은행만 자회사를 늘리게 됐다는 점에서 아무리 대안이 없다고 해도 성급하다는 비판도 잇따르고 있다. 또한 정부은행인 산업은행이 동원된 것은 결국 정부 스스로 부실을 떠안는 것과 같다는 점에서도 이번 결정은 고심끝의 「차선」이 아니라 편한대로 넘어가자는 도피성 결론에 가깝다는 비난이 제기되고 있다. ◇「제2의 산업증권」우려= 가장 큰 문제는 산업은행의 체질. 이미 산업은행은 자회사였던 산업증권을 부실경영으로 청산한 뼈아쁜 선례를 남겼다. 당시 산업증권의 몰락에는 여러가지 정황요인들이 개입했지만, 그중에서도 「경영체질」이 주요인으로 꼽혔다. 증권업무와 자본시장의 생리를 제대로 모르는 산업은행 퇴직임원들이 사장으로 낙하산을 타고 내려와 시장에 제대로 적응하지 못했다는 지적이다. 산업금융채권등 산업은행이 지원할 수 있는 엄청난 채권관련업무를 기반으로 가지고 있어 손짚고 헤엄치는 장사를 할 수도 있었는데 결국 산업증권은 망했다. 현재의 산업은행이 예전과 과연 얼마나 달라져 있는지 의문이다. 증권사 관계자는 『산업은행이 대주주로서만 남아있고 아예 해외증권사의 기술지도를 받아 경영을 위탁하는 방식이라면 몰라도, 직접 경영권을 행사하는 한 비관적이라고 본다』고 말했다. ◇국책은행 구조조정 어디로가나=산업은행의 이번 대우증권 인수는 자칫 국책은행 구조조정의 흐름이 바뀐 것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외환위기 이후 산업은행은 산업증권을 비롯해 여러 자회사를 없애거나 통합해 몸집을 줄여왔다. 그러나 산업은행이 자회사로 대우증권을 확보하게 돼 이 흐름에 제동이 걸렸다. 산업은행의 대우증권 인수는 표면적으로 정부의 권유에 의한 「마지못한 인수」의 모양을 갖췄지만 실제로는 자회사확보를 위해 「고등방정식」이 동원된 흔적이 역력하다. 정부가 이를 용인해 줬다면, 결국 공기업 구조조정의 방향을 바꾼 것인지에 대해 보다 명백한 정책의지의 표명이 필요하다. 산업은행이 일시적으로 대우증권을 안정시킨 후 다시 시장에 경영권을 내다 팔 계획이라면 이 역시 확실하게 공개하는 편이 떳떳하다는 지적이다./성화용기자 SHY@SED.CO.KR 성화용기자SHY@SED.CO.KR 입력시간 2000/05/04 17:27

관련기사



성화용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