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OECD "내년 선진국 돈 빌리기 어려워질것"

"세계 경기둔화로 시장 불확실성 커져, 롤오버 리스크가 국가경제 위협" 경고

유로존 위기와 세계경제 둔화로 시장의 불확실성이 극에 달하면서 선진 국가들의 차입이 내년에 한층 어려워질 것이라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경고가 전해졌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OECD 회원국 정부와 시장의 차입이 올해 10조4,000억달러에서 내년에 10조5,000억달러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며 민간시장에서 대규모 차입을 일으키는 것은 상당수 OECD 국가들에 '커다란 도전'이 될 것이라고 12일 보도했다. 이 같은 내용은 OECD가 이달 중에 발표하는 차입 전망 보고서에 담길 예정이라고 FT는 전했다. OECD에 따르면 이로 인해 발생하는 롤오버(만기연장) 리스크가 내년에 많은 국가 경제의 안정성을 위협하는 큰 문제가 될 것으로 우려된다. 롤오버 리스크는 채권이 만기 도래한 국가가 차환을 하거나 만기연장을 하지 못해 긴급 구제금융을 받거나 유럽중앙은행(ECB)과 같은 기관에 의존해야 하는 상황이 초래되는 것을 의미한다. OECD 회원국들의 단기채권 비중이 높아지고 있는 점도 채무 국가들의 차환 리스크를 높이는 요인으로 지목됐다. 현재 회원국들의 단기채 발행 비율은 44%로 금융위기 이전인 지난 2007년 대비 현저하게 높은 수준이다. 이는 장기적으로 자금을 조달해서 안정적으로 운용하지 못하고 다달이 차환을 해야 할 정도로 팍팍한 상황에 처하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OECD는 이렇게 시장의 불안이 가중되면서 이탈리아와 스페인 등의 선진국도 민간시장 차입이 어려워질 것으로 전망되며 많은 선진국 국채가 기존의 '안전자산' 지위를 상실하게 될 수 있다는 점이 큰 문제라고 경고했다. 이는 이탈리아나 스페인은 물론이고 현재 최고 신용등급인 'AAA' 등급을 유지하고 있는 프랑스와 오스트리아에도 해당된다고 신문은 설명했다. 한스 블롬메스타인 OECD 국채관리국장은 "시장이 '야성적 충동(animal spirits)'에 지배되는 모습을 보이면서 국채 수수료가 치솟고 지속적인 채무이행을 어렵게 하는 심각한 결과로 이어지고 있다"고 경고했다.

관련기사



신경립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