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GNI 33년새 258배 늘고 내수산업비중·저축은 줄어

새 국민계정기준으로 본 한국경제

우리나라 국민 한 사람이 벌어들이는 1년 소득은 지난 70년 9만원에서 2003년 현재 1,507만원(1만2,646달러)으로 167배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국민소득을 모두 합한 규모(국민총소득ㆍGNI)는 같은 기간 258배 커졌다. 한국은행은 25일 국민계정의 2000년 기준년 2차 개편 결과 이 같은 결과가 나타났다고 밝혔다. 한은은 3월에 95~2002년 사이의 국민계정의 기준년 등에 대한 1단계 개편결과를 발표한 데 이어 이번에 70~94년을 대상으로 한 2단계 개편결과를 발표했다. 이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국민총소득(명목 GNI) 규모는 70년 2조8,004억원에서 2003년에는 722조3,558억원(6,061억달러)으로 확대됐다. 세계 210개 국가 중 10번째로 큰 규모. 33년간 연평균 7.1%(실질 GDP성장률)씩 부지런히 성장해온 결과다. 1인당 GNI로 따지면 33년 전 188개 국가 중 126위에 머물렀던 순위는 2003년 210개 국가 중 50위로 뛰었다. 생산구조의 변화추이를 보면 농림어업의 비중이 70년 29.2%에서 지난해 3.6%로 급감한 반면 제조업ㆍ건설업 및 서비스업의 비중은 크게 상승했다. 서비스업 비중은 70년 44.7%에서 2003년 57.2%로 12.5%포인트 상승했으며 제조업 비중은 17.8%에서 26.6%로 8.8%포인트, 건설업은 5.1%에서 9.6%로 4.5%포인트 각각 상승했다. 제조업 중에서는 수출과 연관이 많은 가공 조립형 산업 비중은 크게 늘었지만(70년 16.6%→2003년 43.4%) 내수와 관련이 깊은 생활 관련형 산업 비중은 지속적으로 감소 추세다(34.1%→12.3%). 생산구조를 일본과 비교해보면 농림어업과 제조업의 비중은 일본보다 높은 반면 서비스업의 비중은 낮았다. 국민 전체가 벌어들인 소득(국민 총처분 가능소득) 중 월급을 받는 피용자 보수가 차지한 비중은 70년 33.8%에서 2003년 44.2%로 상승했다. 그러나 이 같은 피용자 보수 비중은 일본(53.2%, 2002년 기준)에 비해서는 낮은 것으로 파악됐다. 또 총저축률은 80년대 후반까지 가파르게 상승, 88년 40.4%까지 높아졌으나 이후 하락세로 반전, 2003년에는 32.6%를 기록했다고 한은은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