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한빛·평화·광주·제주銀 공적자금 6조 필요

한빛·평화·광주·제주銀 공적자금 6조 필요 경영개선계획 불승인 판정을 받은 한빛.평화.광주.제주은행 등 4개 은행은 부실을 털기 위해 6조원의 공적자금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는 당초 이들 은행이 경영개선계획서에 제출했던 4조2천500억원보다 1조7천500억원 이상 늘어난 금액이다. 한빛은행은 당초 3조7천억원의 공적자금이 필요하다고 판단했으나 고정이하여신비율 0% 달성 시기가 내년말에서 올해말로 당겨지고 현대건설과 쌍용양회 문제가 새로 불거짐으로써 1조3천억원 가량 추가로 공적자금이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이종휘 한빛은행 종합기획부장은 "고정이하여신 2조원을 내년까지 털어낸다는계획아래 공적자금 소요를 추정했으나 금융당국이 고정이하여신비율 '제로' 달성 시기를 올해말로 앞당김으로써 이 여신에 대해 8천억∼9천억원 정도의 추가 공적자금이 필요해졌다"고 말했다. 이 부장은 또 "이외 29개 퇴출기업과 관련해 2천억원 가량이 필요해졌고 2천210억원의 여신을 갖고 있는 현대건설 및 쌍용양회 처리결과에 따라 2천억∼3천억원 정도의 공적자금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 광주은행은 당초 4천억원의 공적자금을 요청했으나 수정 공적자금 요청 규모는 이보다 조금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다. 송재관 광주은행 본부장은 "퇴출기업 관련 추가 소요는 15억원밖에 안되지만 고정이하 여신비율을 3%이하로 낮춘다는 기준에서 4천억원을 제시했기 때문에 금융당국이 고정이하 여신비율을 더 낮출 것을 요구해오면 추가로 1천억원 안팎이 필요해진다"고 말했다. 제주은행은 당초 1천500억원의 공적자금 지원을 요청했으며 퇴출기업 처리에 따라 별다른 영향이 없다고 말했다. 평화은행은 당초 카드 부문을 분리해 SK㈜와 자회사를 공동 설립하고 프리미엄조로 3천200억원 규모의 현금이 유입된다는 계획아래 공적자금 지원을 하지 않았다. 이에 따라 평화은행에 대한 공적자금 투입 여부는 SK의 카드사업 인수 허용에따라 달라질 것으로 보인다. (서울=연합뉴스) 황정우기자입력시간 2000/11/08 11:24 ◀ 이전화면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