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외칼럼

[로터리/11월 16일] 개미와 베짱이

한국은 세계6위의 원전대국이다. 우라늄 소비량 역시 세계6위다. 최근 우라늄 수요는 중국·인도의 급속한 성장과 원전건설을 중단했던 미국·유럽·동남아 국가들의 재건설로 급증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희석우라늄(핵무기용 고농축 우라늄(순도 90% 이상)을 연료용(3~5%)으로 희석한 것)이 소진될 것으로 예상되는 오는 2016년 이후부터는 공급부족이 시작될 것으로 예견한다. 여기에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청정 에너지인 우라늄 확보 경쟁은 더욱 가열되는 양상이다. 얼마 전 보도에 따르면 중국은 8개 국가에서 10개 이상의 우라늄 광산을 개발하고 있다고 한다. 러시아는 냉전의 소유물로 전세계 농축 우라늄의 40% 이상을 소유하고 있지만 몽골 등지에서 우라늄 채굴권 확보에 나섰다. 자국 내 필요한 수요를 채울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한국은 아직까지 자주개발 실적이 없다. 해외에서 우라늄을 직접 개발하는 것이 아니라 전량을 단순히 수입하고 있는 것이다. 정부의 제4차 전력수급 기본계획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이미 건설하고 있는 8기를 포함해 2022년까지 원자력발전소 12기를 신규 건설한다. 현재의 20기에서 2022년 32기로 늘어나는 것이다. 지난해 원자력발전소 20기를 가동하는 데 5,202톤U(7억4,700만달러)를 수입했으니 가격이 오르지 않는다 해도 2022년 이후로는 어림잡아도 1년에 1조4,000억원의 돈을 써야 한다. 큰 틀에서 생각해보면 매년 1조4,000억원을 수입비용으로 쓰는 것보다 그 비용을 해외광산을 미리 확보하는 데 투자하는 것이 안정적이고 경제적인 방법이다. 그러면 한국은 왜 우라늄 투자에 부진했을까. 이유는 간단하다. 수요자가 제한돼 있기 때문이다. 수요기업 입장에서는 광산을 개발하는 것보다 단순 구매하는 편이 쉽고 리스크도 적다. 또 우라늄은 폐쇄적 유통구조를 갖고 있어 다른 기업들은 개발에 참여하기가 쉽지 않다. 광물자원공사는 우라늄의 단순수입 방식을 개선해 자주공급을 점차 늘려가겠다는 계획을 갖고 있다. 올해부터는 수요기업들과 공동으로 해외 우라늄 광산 확보에 나서고 있다. 특히 수요기업과 컨소시엄을 이룰 경우에는 협상력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과거 우라늄을 비롯한 대부분의 자원은 돈만 주면 수입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제까지 괜찮았다고 앞으로도 괜찮을 거라 생각하는 것은 안일한 사고다. 그날그날 먹고 살 수 있던 여름이 지나고, 우리 앞에 겨울이 오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