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車업계 임단협 본격화… 난항 예상

현대자동차 노사가 오는 9일 임금단체협상 첫 본교섭을 갖는 등 이달부터 차업계의 임단협이 본격적으로 전개된다. 올해에는 임금피크제, 노조의 경영활동 개입, 고용 보장 등과 관련해 노사 양측의 입장이 팽팽히 맞서고 있는데다 비정규직 문제를 둘러싼 갈등도 지속되고 있어협상 과정이 순탄치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6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자동차 노사는 지난 2일 상견례를 갖고 임단협에 본격돌입, 오는 9일 첫 본교섭을 갖는다. 노조는 올해 요구안에서 월 임금 10만9천181원 인상, 당기순이익의 30% 성과급지급, 상여금 800%로 인상, 주간연속 2교대제 실시, 국내공장 축소나 폐쇄 및 해외공장 건설시 노사합의, 정년연장 등을 제시했다. 이에 맞서 사측은 임금피크제 도입, 신기술 도입과 공장이전 등에 대한 노조통보기한 삭제, 배치전환 제한 해소, 산재환자 보조금 인하 등을 요구하고 있다. 특히 사측이 차업계 최초로 임금피크제 도입을 요구하고 있는 반면 노조는 정년을 60세로 연장할 것을 요구하면서 사측안 철회를 주장하고 있어 협상에 난항을 겪을 것으로 보인다. 또 노조 요구안은 해외공장, 신기술도입, 하도급 등에 대한 노조의 개입력을 강화하는 조항을 다수 포함하고 있는 반면 사측은 신기술 도입과 공장이전 등에 대한노조통보기한 삭제 등 경영활동에 지장을 주는 단협을 개정할 것을 요구하고 있어갈등이 예상된다. 이밖에 노조의 비정규직 문제 해결 요구와 검찰의 노조간부 취업비리 수사 등도협상을 더디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쌍용자동차는 올해 임금협상이 중국 상하이차(SAIC)에 인수된 후 첫 협상이라는점에서 관심을 끌고 있다. 이를 반영하듯 노조는 올해 임금 11만9천326원 인상과 함께 `평생고용보장 특별협약'을 체결하고 이를 법원 공증을 통해 인증할 것을 요구하면서 회사 매각에 따른고용 불안 문제를 확실하게 해결하려 하고 있다. 노조가 요구하는 '평생고용보장 특별 협약'은 노조와 합의 없이 정리해고 등 인위적 고용조정을 할 수 없으며 전 사원의 고용규모를 유지하고 만 58세까지 고용을보장해야 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노조는 이밖에 ▲비정규직중 2년 이상 경력자의 정규직 전환 ▲비정규직에 대해정규직과 동일한 임금인상 적용 등 비정규직과 관련한 요구안도 제시했다. 대우차 노조는 올해 임금 18만3천807원 인상과 함께 군산공장 신차 조기투입,비정규직에 대한 올해 임금인상안 동일적용, 해고자 복직, 창원공장 노후설비 개선등을 요구하고 있다. (서울=연합뉴스) 김희선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