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2만弗시대 IT가 연다 <2-2>] 핵심기술 확보만이 살길

휴대폰 수출강국 '외화내빈'<br>CDMA보유 퀄컴에만 한해 로열티 3억弗<br>핵심부품 국산화율 낮아 대부분 수입의존<br>수출로 벌어들인 돈 다시 해외로 새나가

[2만弗시대 IT가 연다 ] 핵심기술 확보만이 살길 휴대폰 수출강국 '외화내빈'CDMA보유 퀄컴에만 한해 로열티 3억弗핵심부품 국산화율 낮아 대부분 수입의존수출로 벌어들인 돈 다시 해외로 새나가 • 세계적 원천기술 확보 국내 '강소업체'도 있다 매년 수출 최고치를 경신하며 국가 무역수지 흑자를 견인하고 있는 IT 산업 중에서도 휴대폰이 차지하는 비중은 절대적이다. 이미 반도체, 자동차에 이어 3대 수출품목으로 자리잡았다. 전세계에 공급되는 휴대폰 4대중 1대는 ‘메이드 인 코리아’일 만큼 한국은 휴대폰 최강국으로 부상했다. 그러나 국내산업에서 휴대폰의 중추적 역할이 커질수록 ‘속빈 강정’이라는 지적도 끊임없이 제기된다. 한마디로 돈은 많이 벌어들이지만 상당부분이 원천기술 사용에 따른 기술료(로열티)와 핵심부품 비용으로 다시 새나간다는 지적이다. 휴대폰 산업이 발전을 거듭할 수록 로열티와 부품비용 역시 눈덩이처럼 불어날 전망이어서 대책마련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다. ◇전체 로열티의 11%는 퀄컴 주머니로=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의 최근 조사에 따르면 지난 2002년 한해 동안 국내 5,000여개 업체가 해외에 지급한 기술료는 27억2,150만달러에 달한다. 이 중 코드분할다중접속(CDMA) 원천기술 보유업체인 미국 퀄컴으로 흘러들어간 로열티만 무려 2억9,600만달러였다. 해마다 4,000억원 이상의 막대한 로열티가 퀄컴의 계좌에 입금되지만 국내 업체들은 변변한 로열티 재협상도 하지 못하는 형편이다. CDMA와 양대 축을 이루는 유럽식(GSM) 휴대폰에서도 로열티 부담은 점차 가중되고 있다. CDMA와 달리 GSM 원천기술을 보유한 업체는 10여개가 넘어 이들이 기술료를 본격 요구할 경우 중소 수출업체들은 극도의 채산성 악화에 시달릴 수밖에 없다. 정보통신연구진흥원이 지난 2월 국내 휴대폰 업체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 결과는 이 같은 외화내빈의 상황을 잘 보여준다. 국산 휴대폰의 경쟁력 요소로 생산성 및 품질관리, 단말기 외형디자인을 꼽은 업체가 각각 28%로 직접적인 제품 경쟁력은 높은 것으로 평가됐지만, 원천기술 개발과 부품확보 능력의 경쟁력이 높다고 답한 업체는 고작 6%에 지나지 않았다. ◇핵심부품도 국산화율 낮아= 휴대폰 업계에서는 “일부 대기업을 제외하면 국내 업체들은 그럴듯하게 ‘포장’과 ‘조립’만 잘 할 뿐”이라는 냉소어린 비판도 나온다. 퀄컴의 CDMA 로열티만 문제가 아니라 대부분의 핵심부품을 해외에서 그대로 가져다 쓰는 현실에 대한 자조다. 휴대폰의 멀티미디어화와 융합화가 가속화될수록 사다 쓰는 핵심부품도 늘어만 간다. 과거 휴대폰이 음성통화 위주였을 때는 퀄컴의 CDMA칩 등 일부 칩셋에 그쳤던 수입품목이 지금은 카메라폰 모듈, LCD, 음원칩, MPEG, MP3, VOD, 운영체제(OS), 무선인터넷 브라우저, 자바, 텍스트입력 등 셀 수 없이 많아졌다. 급한대로 사다 쓰고 돈벌어 갚는다는 식의 관행이 반복되는 동안 어느새 헤어날 수 없는 기술종속의 늪에 빠져든 것이다. 삼성전자, LG전자 등 부품의 수직계열화를 어느 정도 이룬 대기업들이야 사정이 좀 낫지만 중소업체들의 경우 최신 카메라폰 부품의 국산화율은 40% 수준에 머물러 있다. ◇원천기술 개발에 힘 모아야= 원천기술 부재의 한계를 뼈저리게 인식한 일부 대기업들은 일찌감치 원천기술 확보에 발벗고 나섰다. 삼성전자는 다가오는 3ㆍ4세대 이동통신과 휴대인터넷 등에서의 표준화 활동을 통해 3,000여건의 관련특허를 27개국에 출원했다. 지난해보다 7,000억원이나 늘어난 4조4,000억원의 연구개발(R&D) 예산도 집행하고 있다. LG전자 역시 국내와 해외에서 각각 1,800건, 1만2,000건의 휴대폰 관련 특허를 출원 중이고, 뒤늦게 글로벌 대열에 합류한 팬택계열도 4,000건 정도의 특허를 출원해 놓고 있다. 그러나 이들 대기업의 수많은 특허조차도 대부분 원천기술이 아닌 응용기술에만 집중돼 있어 기술경쟁에서 불리할 수밖에 없다. 우수한 기술력을 갖춘 중소ㆍ벤처기업을 적극 육성해 대기업과의 연결고리를 만들고, 정부와 공공기관도 원천기술 개발과 지원에 적극 나서야 한다는 지적도 이 때문에 나온다. 우수한 IT 인프라를 바탕으로 민ㆍ관ㆍ연이 하나가 돼 힘을 모아야만 기술전쟁에서 살아남을 수 있다는 것이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독자적 기술력을 갖출 때까지는 기업차원의 특허 전담팀을 꾸려 적극 대응해야 한다”며 “국가적으로도 특허정보 제공, 금융지원 체계를 확립하는 등 로열티 부담을 최소화하기 위한ㄴ 전략수립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입력시간 : 2004-07-07 19:57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