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서민금융 '사각지대' 여전

전국 69개구중 저축은행 없는 곳 27곳이나<br>"자금력 있는 투자자에 신규 설립 허용을"


서민 금융기관인 저축은행이 없는 기초자치단체 지역이 전체의 40%에 달할 정도로 서민금융 사각지대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31일 금융계에 따르면 전국 69개 구(區) 지역 가운데 저축은행 본ㆍ지점 및 출장소가 없는 곳이 27곳으로 전체의 39%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됐다. 현재 전국의 저축은행 본점은 108개, 지점 168개, 출장소 32개 등 영업점포는 모두 총 308개에 달한다. 저축은행 점포는 지역별로 큰 편차를 보이고 있다. 울산의 경우 4개 구 가운데 남구를 제외하고는 저축은행이 없다. 인천은 8개 구 중 5곳, 대전은 5개 구 중 3곳에 저축은행이 없어 부재지역이 각각 62.5%, 60%를 차지했다. 대구도 저축은행이 없는 구가 7개 중 4개로 있는 곳보다 없는 곳이 더 많다. 서울과 부산은 상대적으로 상황이 나은 편이다. 서울은 25개 구 가운데 용산ㆍ도봉ㆍ중랑ㆍ금천ㆍ성동 등 5개 구(20%)에, 부산은 15개 구 가운데 사상ㆍ남ㆍ금정ㆍ영도ㆍ서ㆍ강서 등 6개 구(40%)에 저축은행이 없다. 이에 따라 저축은행이 없는 곳에서는 적극적으로 유치 노력을 벌이는 동시에 저축은행 영업과 인수합병(M&A)을 활성화하기 위해 신규 설립을 허용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다. 특히 저축은행업계는 영업구역의 사각지대를 줄이고 적극적인 영업을 독려하기 위해 자금력과 영업력이 있는 주주들의 저축은행 신규 진입을 허용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한 저축은행 대표는 “영업구역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증자가 필요한데 기존 주주들은 증자할 여력이 없다”면서 “저축은행 신규 진입이 막히면서 기존 저축은행의 프리미엄이 너무 높아져 자금력 있는 투자자조차 나서지 못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금융감독당국은 은행의 저축은행 인수를 유도해 서민금융을 활성화하겠다고 밝혔지만 은행들은 ‘현실을 모르는 소리’라고 지적한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저축은행을 인수하려고 해도 매물도 없고 프리미엄도 너무 높다”며 “은행 등 대형 금융회사나 자금력 있는 투자자들에게는 저축은행 신규 설립을 제한적으로라도 허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금융감독원의 한 관계자는 “지난 80년대 저축은행 신규 설립을 허용한 직후 과당경쟁이 빚어져 부실이 심해졌다”며 “수신 기능이 있는 은행과 저축은행의 신규 설립은 신중해야 한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