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BIZ 플러스 영남] "온실가스 줄이고 일자리 창출까지…

■ 박흥석 울산 ECO 사업단 단장<br>에너지효율화 사례 전세계가 주목"


"녹색성장이요. 바로 울산의 생태산업단지에 있습니다." 울산ECO사업단 박흥석 단장(53·울산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교수)은 정부가 야심차게 추진 중인 녹색성장의 개념이 일반 국민들이 이해하기에 다소 모호한 실정이지만 궁극적으로는 생태산업단지의 성공적인 구축에서 그 핵심 개념을 찾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박 단장은 "생태산업단지는 단순히 기술혁신을 통해 A공장의 쓰레기를 B공장의 원료로 둔갑시키는 곳만을 일컫지 않는다"며 "울산 생태산업단지가 지향하는 모델은 기술혁신을 통해 쓰레기 재활용을 통해 공단 내 전체 에너지소비를 효율화하고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면서도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는 곳"이라고 설명했다. 울산 생태산업단지에 대한 그의 자부심은 상당했다. 국외에서 이미 수 차례 울산 생태산업단지의 성공 사례에 대해 발표하면서 관련 전문가들의 놀랍다는 반응을 체감하고 있기 때문이다. 박 단장은 "울산 생태산업단지가 주목 받는 이유는 국내외적으로 이렇게 다양한 종의 산업이 집약된 곳이 드물기 때문"이라며 "선진국들은 환경문제를 감안해 공장을 한 곳에 집중하지 않는 편이었는데 생태산업단지를 구축하려는 지금 시점에 와서는 공장이 집중돼 있는 국내 산업단지가 상당한 경쟁력이 될 수밖에 없는 실정"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울산의 생태산업단지 구축 사업은 이제 시작 단계에 불과하지만 국외에서 이곳에 주목하는 정도는 기대 이상이다. 구축이 어느 정도의 단계에 이르렀을 때는 울산의 도시이미지와 경쟁력을 바꾸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울산 생태산업단지 구축이 완료됐을 때 그는 현재보다 공단 내 폐기물 발생량과 그 밖의 에너지 발생을 위한 원료 사용량 등을 15% 줄이겠다는 목표를 갖고 있다. 그는 "15% 감축 목표는 사실상 혁신이 동반되지 않으면 달성하기 어려운 목표다. 그러나 최근 몇 년 동안 사업을 추진해오면서 공단 내 기업들이 스스로 움직이기 시작했음을 피부로 느끼고 있는데 이 같은 변화가 어려운 목표를 달성하는 데 견인차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