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김정일 사망] 급성심근경색 대처 방법

"앞가슴에 심한 통증 30분이상 계속되면 바로 응급실 찾아야"

급성심근경색증은 심장근육에 혈액공급이 중단돼 심근 세포가 죽는 질환을 말한다. 심근 세포에 산소를 공급하는 혈관인 관동맥 또는 관상동맥이 갑자기 막혀 심근 일부분에 혈액 공급이 중단되면서 심근이 죽게 되는 질병이다. 발병되면 앞가슴에 극심한 통증을 느끼게 된다. 의사들은 이를 '꽉 누르는 아주 둔한 통증'으로 표현한다. 이 통증은 앞니부터 배꼽까지 어디든 올 수 있는데 가끔은 왼쪽 팔이나 양쪽 팔로 뻗치기도 한다. 만약 이렇게 심한 통증이 30분 이상 지속되면 관동맥이 막혀 심근에 피가 통하지 않는 심근경색증이 왔다고 볼 수 있다. 심근경색증의 발병은 나이를 먹으면서 생기는 성인병 중 하나인 동맥경화증에서 출발한다. 정상 혈관은 깨끗하지만 기름이 끼면 혈관이 좁아진다. 만약 이때 좁아진 동맥경화관이 터지면 혈소판 찌꺼기가 혈관을 막게 되고 심근에 피가 통하지 않아 심근경색증이 발생하는 것이다. 만약 통증이 30분 이상 없어지지 않는다면 바로 응급실을 찾아야 한다. 적절한 진단을 통해 질환이 확인된다면 응급시술을 받아 막힌 혈관을 바로 뚫어줘야 한다. 보통은 풍선으로 혈관을 넓히고 스텐트(금속그물)를 삽입하는 응급관동맥성형술을 받아야 한다. 스텐트 삽입술은 3시간 이내에 받는다면 심근 세포를 완전히 살릴 수 있지만 12시간 이상 지연되면 심근은 더 이상 회복되지 않고 죽게 된다. 보통 심근경색의 위험인자로는 콜레스테롤이 첫 번째로 꼽힌다. 특히 나쁜 콜레스테롤로 알려진 '저밀도콜레스테롤(LDL 콜레스테롤)'이 여기에 해당한다. 두 번째는 당뇨병이다. 그 다음으로는 복부비만증을 비롯한 대사증후군ㆍ고혈압ㆍ비만 등이 모두 포함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